[주요 신문 사설](13일 조간)

▲ 경향신문 = 법치·경제·국격 다 흔든 '윤석열 관저 농성', 더 방치 말라

내란 수괴 편드는 안창호 인권위, 제정신인가

의·정 갈등, 2026년 의대 정원 '원점 논의'로 끝내라

▲ 국민일보 = 내란 특검 속히 합의하되, 체포영장 집행 늦춰져선 안 돼

▲ 동아일보 = '전쟁 중 루블'만큼 떨어진 원화… 내수 최악인데 물가도 비상

"헌재 출석 의사 확고하다"더니 이제 와 안 나오겠다는 尹

여야, 탄핵 민심 오독도 오도도 안 된다

▲ 서울신문 = 내란특검법, 與 대안 내고 野 독소 더 빼 합의해야

엇갈린 지지율… 與는 오독 말고, 野는 독주 반성해야

최 대행 "내년 의대 정원 원점 협의"… 의료계, 대화 나서길

▲ 세계일보 = "탄핵심판 우선" 외치고도 헌재 변론 불출석하겠다는 尹

계엄 전으로 돌아간 여야 지지율… 巨野 자초한 것 아닌가

소매판매 21년 만에 최악, 내수 진작에 고삐 죄어야

▲ 아시아투데이 = 46%로 2년 7개월 만에 최고치 기록한 尹 대통령 지지율

崔 대행, 대통령 체포 중지 지시해야

체포영장, 청구 불법이면 발부도 무효

▲ 조선일보 = 훈련이라 속여 북 청년 1만명 총알받이로 내몬 김정은

안보 사령탑 40일째 공석, 여야는 국방장관 임명 논의를

가짜 뉴스 쏟아내던 민주당, 국민 입은 틀어막겠다니

▲ 중앙일보 = 좁혀지는 양당 지지율 격차 … 여야, 민심 제대로 읽어야

전공의·의대생에게 사과한 정부, 의료계도 대화 나서길

▲ 한겨레 = 윤석열 체포영장 단호하게 집행하라

국민의힘, '내란 특검법' 트집만 잡을 텐가

'민주주의 모범' 한국이 미국에도 이익이다

▲ 한국일보 = '영장' 핑계로 헌재 안 가는 尹… 또 말 바꾸기, 책임 전가

내부 반발에도 버티는 경호처, '사병' 오욕 뒤집어쓸 건가

카터 장례식장의 전직 대통령 화합… 한국 정치는 언제쯤

▲ 글로벌이코노믹 = 정국 불안 장기화, 국가신용등급 경고등

통화·재정 협력해야 경기부양 가능

▲ 대한경제 = 건설산업 구조변화에 맞춰 기술인력 양성체계 정비하라

21년 만에 최악 '소비절벽'… 추경편성·금리인하로 내수 떠받쳐야

▲ 디지털타임스 = 崔대행 "전공의에 사과"… 의정갈등 풀어나갈 실마리되길

'내란 선동' 카톡 처벌하겠다는 巨野, 파시즘적 발상 아닌가

▲ 매일경제 = 국민 상대로 '내란죄' 겁박, 제정신인가

"대기업 대졸 초임, 5천만원 넘어"… 과도한 임금 경고한 경총

여야는 계엄 특검 합의하고 공수처는 尹체포 시도 중단하길

▲ 브릿지경제 = 미국 '태클' 풀린 원전 동맹, 협력 강화만 남았다

▲ 서울경제 = 與野, 무리수 접고 위헌 요소 없는 특검법 합의해야

中 전기차 공습…민관정 원팀으로 경쟁력 높여야 살아남는다

트럼프 2기 D-7… 'MAGA 태풍' 막을 경제·안보 방파제 쌓아라

▲ 이데일리 = 난데없는 카톡 검열 공방전… 표현의 자유까지 묶나

한미 원전 기술동맹, '트럼프 파고' 넘어설 호재다

▲ 이투데이 = 내주 출범하는 트럼프 2기…국익 우선 대응을

▲ 전자신문 = '벤처 위기'는 기업 근간의 위기

▲ 파이낸셜뉴스 = '현대차 AI 동맹' 과감한 기술혁신 기회로

21년 만에 최악 내수, 정치불안부터 수습을

▲ 한국경제 = 日보다 40%나 높은 대기업 초봉 … 노동시장 이중구조의 근원

"국가부채 증가, 신용등급에 악영향" 피치의 경고 새겨들어야

美 우선주의 넘어 패권주의로 가는 트럼프 2기

▲ 경북신문 = 머리 위에 폭탄 떨어져도 이상할 것 없는 나라

▲ 경북일보 = 경북, 미 LA 대형 산불 타산지석 삼아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지나친 저염 식단, 신장 손상 환자 회복에 악영향"
신장 기능이 악화한 사람이 과도하게 염분 섭취를 제한하면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은 최근 허혈성 급성 신장 손상 후 회복기의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에 관한 논문을 학술지 '세포 및 발달 생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장이 손상된 생쥐를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가 회복에 주는 영향을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회복기 지속적인 저염 식이는 염증성 변화를 유도하고 신장의 섬유화를 악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β와 같은 신호 물질이 과활성화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저지방·저단백 식이도 염분 섭취와 무관하게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치유를 저해했다. 고염식도 신장 회복에 악영향을 주기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만성 신장질환 환자에게는 저염 및 저단백 식단이 종종 권장되지만, 이런 식단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신장 섬유화를 촉진해 허혈성 급성 신손상의 회복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비약물 치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