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안중읍에 공공산후조리원 건립…내년 말 개원 목표

  경기 평택시는 내년 말 개원을 목표로 서부지역인 안중읍 송담리에 도비 21억원과 시비 69억원 등 모두 90억원을 들여 공공산후조리원을 건립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기존 건물을 매입해 리모델링하는 방식으로 연면적 1천500㎡, 지상 4층~지하 1층 규모로 건립 예정인 이 산후조리원은 산모실 10개와 신생아실, 프로그램실, 상담실 등을 갖출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다음달 중 건물 매입을 마무리한 뒤 리모델링 설계와 위탁운영자 선정 등을 거쳐 본격적인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갈 방침이다.

 시는 산후조리원이 개원하면 연간 500여명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 산후조리원은 평택시민이 우선 사용하도록 하되 경기도민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당초 시는 지난해 말까지 공공산후조리원을 개원할 예정이었으나 적절한 건물 매입이 늦어져 개원이 2년여 지연됐다.

 평택시 출생아 수는 2023년 3천620명, 지난해 4천101명 등 최근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시 관계자는 "경기 서남부 지역에는 공공산후조리원이 없고, 평택시내 민간산후조리원도 동부지역에 몰려 있는 상황"이라며 "관내 서부지역인 안중읍에 공공산후조리원이 개원하면 산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지역별 균형 있는 산후조리 서비스를 제공해 산후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척수손상 장애인 앉은키 8~9㎝ 작아…"휠체어 등 제품 설계 배려 필요"
척추 손상으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앉은키가 비장애인보다 8∼9㎝가량 작고, 상체 둘레는 더 크지만 하체 둘레는 더 작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데이터를 장애인을 위한 제품, 공간, 서비스 설계에 활용하고 각종 시설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장애인복지관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표원은 지난해 국내의 만 20∼60세 이상 성인 가운데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 손상 장애인 338명(남자 246명·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29개 항목에 대한 직접측정과 45개 문항에 대한 심층 설문조사를 통해 앉은키, 앉은 눈높이,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 앉은 장딴지 둘레, 몸무게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척수 손상 장애인의 앉은키는 남성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8.4㎝, 여성의 경우 9.4㎝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앉은 눈높이도 남성과 여성이 각각 7.4㎝, 9.2㎝씩 낮았다. 상체 둘레 항목인 앉은 배꼽 수준 허리둘레는 남녀가 비장애인보다 각각 10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