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불법계엄 방조·거짓말, 한덕수 구속하라

수주하고 손해나는 원전, '속 빈 강정' 수출 되짚어야

노란봉투법 밀어붙이면서 투자 요구, 이율배반 아닌가

결국 '힘의 논리' 따르는 우크라 종전 협상… 남의 일 아니다

▲ 동아일보 = 李 관세 대응 '원팀' 강조… 기업 뛸 수 있게 '입법 숨통' 열어줘야

살던 곳에서 나답게… 우린 '품위 있는 죽음' 준비돼 있나

석유화학 재편 시동… 자구책 기대지 말고 정부가 나서라

▲ 서울신문 = 기업인들에게 "성과 내달라"며 '노봉법'은 강행하나

종전협상 급물살…미·유럽 안전보장에 기댄 우크라의 비애

원천기술 없어 벌어진 원전 수출 굴욕 협상

▲ 세계일보 = 김정은 핵 위협…韓 핵잠재력 강화 한·미회담 의제돼야

美 철강 파생상품에도 관세 폭탄, 후속협상서 막기를

조국 비리·천안함 음모론 비호…교육 수장 자격 있나

▲ 아시아투데이 = 與, 경제계 '노란봉투법' 막바지 호소 경청하길

러·우 전후 첫 정상회담에서 종전 돌파구 찾아야

▲ 조선일보 = 네이버·카카오 20대 직원 30% 급감, AI 고용 쇼크 시작

코레일 사망 '압수 수색하고 장관 책임지라'면 납득되나

알박기 원조는 민주당, 방지법 만들되 다음 정부서 시행

▲ 중앙일보 = "졸속은 안 돼" … 검찰 개혁 속도전에 제동 건 국무총리

노란봉투법 강행 태세, 재계 절박한 호소 안 들리나

▲ 한겨레 = 국정지지율 큰 폭 하락, 늘 민심 경청과 소통 이어가야

체코 원전 '불평등 계약' 의혹, 철저히 진상 규명해야

출처 담긴 관봉권 띠지 폐기한 검찰, 증거인멸 아닌가

▲ 한국일보 = 검찰 개혁에 "공론화" 주문 이 대통령, 모든 정책 기본 아닌가

50년 족쇄… 미국과 원전 불공정 계약 논란, 진상 밝혀야

검찰의 '건진 관봉권' 띠지 분실, 있을 수 없는 일

▲ 글로벌이코노믹 = 국내 은행권 수익성·안전성 수준은

美관세 폭풍 이긴 대만·홍콩·싱가포르

▲ 대한경제 = 세종안성 고속도 붕괴사고… 법령·매뉴얼만 지켰어도

K-원전 불평등 계약, 이제라도 상생 방안 찾아야

▲ 디지털타임스 = 與, 금통위에 노동계 몫 추진… 통화정책 독립성도 흔들텐가

여권, '교육장관 후보 차라리 이진숙이 낫다'는 자조 귀담아야

▲ 매일경제 = 갈수록 늘어나는 '쉬었음 청년', 기성세대 책임 크다

한미훈련 축소에 "핵무장 급진적 확대"로 답한 김정은

기업인들에 "원팀" 강조한 李, 反기업법도 제동 걸어야

▲ 브릿지경제 = 노조법 2·3조 '경제계 수정안' 조차 못 받아들이나

▲ 서울경제 = 상법 2차 개정 땐 우호지분 의결권 치명타, 기업 할 맛 나겠나

노란봉투법도 모자라 '노동계 금통위원'까지 꺼내든 與

당 대표 선출 투표 개시…'쇄신 없는 국힘' 전대 뒤가 더 암울

▲ 이데일리 = '그냥 쉬었음' 청년 급증… 손실이 44조에 달한다니

우리 기업들 덮치는 위기 쓰나미, 反기업법 멈춰야

▲ 이투데이 = '횡재세'로 읽히는 금융 교육세 인상

▲ 전자신문 = 디지털·AI 활용 사각지대 없애야

▲ 파이낸셜뉴스 = 세계가 주목한 글로벌車 공로자 현대차 3代 회장

밑지는 원전 수출, 철저한 점검으로 수익성 확보하길

▲ 한국경제 = "M&A는 최고의 중소기업 지원책" … 관련 규제 더 풀어야

외국 기업도, 中企도, 진보 성향 학회도 우려하는 노란봉투법

관치금융 얼마나 심하면 글로벌 IB가 직접 점검 나설까

▲ 경북신문 = 고위층 잦은 방문… 일손 빼앗아

▲ 경북일보 = 청도 열차 참사 구조적인 문제 해결해야

철강 파생상품도 50% 관세, K-스틸법 급하다

▲ 대경일보 = '협동조합형 민간임대아파트' 불법·부조리 척결해야

아동 돌봄서비스 관리체계 강화를 촉구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