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오픈AI 협업 결과는 언제쯤

상반기 출시 카나나 첫 시험대…양사 공동 프로젝트가 실질적 가늠자
챗GPT '오퍼레이터'에 카카오톡 선물하기 서비스…월 200달러 구독료 내야

 올해 들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 가장 이목이 집중됐던 행사는 오픈AI 창업자 샘 올트먼의 지난 2월 방한이 아닐까 싶다.

 인공지능(AI)을 빼놓고는 ICT 산업을 논할 수 없게 된 지 오래인 상황에서 중국기업이 내놓은 딥시크가 빅테크 주도의 기존 시장 판도 자체를 뒤흔들며 어느 때보다 AI 기술에 관심이 쏟아지던 시점이기도 했다.

 몇 차례 한국을 찾기는 했지만 잠행에 가까운 행보를 이어온 그가 개발자 행사에 등장한 것은 물론이고 카카오 정신아 대표와 손을 잡고 언론 앞에 선 데다 마지막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3자 회동까지 했으니 이에 쏠린 언론의 관심은 어지간한 정부 수반의 방한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컸다.

 최근 오픈AI의 챗GPT에 신규 추가된 AI 비서 '오퍼레이터'의 한국 서비스에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이 옵션으로 들어가기는 했지만, 오퍼레이터 자체가 월 200달러를 내고 챗GPT 프로를 사용하는 이용자에 한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라기에는 무리가 있는 게 사실이다.

 업계 안팎에선 카카오가 상반기 별도 앱 출시를 준비 중인 초거대 언어모델(LLM) 카나나 서비스에 어떤 형식으로 오픈AI의 기술을 녹여낼지가 양사 협업의 성패를 가를 첫 시험대가 될 것이란 관측을 내놓는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개발자 대회에서 카나나 서비스를 공개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아직 미온적이다.

 카카오는 이후 '소버린 AI' 개발에 사력을 집중하고 있는 네이버와 달리 다양한 AI 모델을 필요에 맞게 선택하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차용, 실리 추구 노선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카나나 언어모델 전 라인업을 구축하고 연구 성과를 오픈소스로 공개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AI와 손을 잡은 카카오가 어떤 AI 서비스를 내놓느냐에 양사 협업의 시너지 평가가 달려 있지 않겠느냐"며 "카나나는 이미 카카오가 틀을 세워놓은 서비스였던 만큼 양측이 시작 단계부터 협업할 공동 프로젝트의 내용 역시 관심 사안"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