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활용시 유방암 발견율 증가' 입증…'루닛'. 국제학술지 게재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유방촬영술 AI 영상분석 설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활용한 대규모 다기관 전향적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4.7)에 게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이나 미국처럼 한 명의 영상의학 전문의가 유방촬영술을 판독하는 '단독 판독'(Single Reading) 환경에서 AI의 활용 효과를 검증한 세계 최초의 대규모 전향적 연구로, AI가 진단 정확도를 높이면서도 불필요한 재검사는 늘리지 않는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루닛이 전했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장윤우 교수와 강동 경희대병원 류정규 교수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2021년 2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국내 6개 대학병원에서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만 40세 이상 여성 2만4천5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암 재검사를 위해 환자를 다시 소환하는 리콜률(RR)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AI 활용이 불필요한 재검사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유방암 발견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루닛이 강조했다.

 연구팀은 추가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해 일반 영상의학 전문의가 AI를 활용할 경우 유방암 발견율이 1천명당 3.9명에서 4.9명으로 26.4% 증가하는 것도 확인했다.

 아울러 AI는 20㎜ 미만의 작은 크기이거나 림프절 전이가 없는 초기 유방암을 의미 있게 추가 발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 주저자인 장윤우 교수는 "유방 촬영 단독 판독 환경에서 AI를 활용하면 유방촬영술 판독 경험이 많은 유방 영상의학 전문의뿐만 아니라 판독 경험이 부족한 일반 영상의학 전문의 모두에서 유방암 암 발견율을 높일 수 있으며, AI가 유방암의 조기 진단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이번 단독 판독 환경에서 진행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를 통해 루닛 AI 설루션의 실질적인 유방암 진단 효과를 입증할 수 있었다"라며 "이를 통해 한국과 미국처럼 의사 1인이 단독으로 판독하는 국가에서 루닛 AI 설루션을 활용할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전 데이터로 아기 선별해 낳는다?…美 스타트업 '슈퍼베이비' 논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한 스타트업이 제공하는 배아 유전체 검사 서비스가 '슈퍼베이비' 논란을 낳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17일 보도했다. 난임 스타트업 '오키드헬스'는 배아를 대상으로 향후 발병 소지가 있는 수천 가지 질병을 검사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예비 부모는 자녀의 유전 정보를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이 알 수 있다. 현재는 시험관 시술(IVF)을 받는 여성과 커플들이 낭포성 섬유증이나 다운증후군 같은 단일 유전자 변이나 염색체 이상을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스타트업은 최초로 30억 염기쌍의 배아 전체 유전체를 시퀀싱(DNA의 염기 배열 분석)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배아에서 채취한 5개 세포만으로 전체 유전체를 분석하고, 조현병·알츠하이머·비만 등 1천200여개 질병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질병 가능성은 점수화되는데, 이 데이터를 통해 아이를 선별해 낳을 수 있는 셈이다. 오키드헬스 창업자 누르 시디키는 "오키드는 질병을 피할 수 있는 유전적 축복을 받는 세대를 만들고 있다"고 소개하며 "섹스는 즐거움을 위한 것이고, 아기를 위한 것은 배아 스크리닝"이라고 말했다. 오키드헬스의 유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