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근버스, AI로 모니터링…졸음운전 '0'·신호위반 64%↓

한국교통안전공단, LG전자 14대 시범운행…올해 전 사업장 장거리 버스 적용

  LG전자 통근버스에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운전자의 행동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경고했더니 위험 운전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9∼11월 LG전자 창원사업장 장거리(경남·부산) 노선 통근버스 14대에 AI 안전운전 설루션을 시범 도입한 결과 운전자 안전 점수가 48.4점에서 82.3점으로 70% 향상됐다고 17일 밝혔다.

 설루션 도입 이전인 지난해 8월과 11월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위험 운전 횟수(운행거리 1천㎞ 기준)를 비교하니 불법 유턴은 80.3%, 신호 위반은 64.2% 줄었다. 중앙선 침범은 56.7% 감소했다.

 특히 졸음운전은 지난해 8월 0.135건에서 10월에는 0.009건으로 급감했다가 11월에는 아예 '0건'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운전 지표 개선 인포그래픽

 AI 안전운전 설루션을 도입한 버스는 공회전 시간이 43% 줄어드는 등 경제운전 지표도 개선됐다.

 LG전자는 창원 사업장의 시범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이 설루션을 자사 모든 사업장의 장거리 노선 통근버스에 추가 장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단은 AI 안전운전 설루션이 전세 통근버스 등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민간 기업, 지방자치단체, 운수 조합 등과 협력할 계획이다.

 정용식 공단 이사장은 "통근버스 운전자들의 위험 운전 습관을 스스로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며 "앞으로도 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국민이 안전한 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