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1일은 '삼삼한 데이'…덜 짜고 덜 달게 드세요"

식약처, 건강 식생활 위한 기념일 '삼삼한 데이' 지정
연세대서 첫 기념행사…오유경 처장, 학생식당서 저나트륨 음식 배식

 3월의 마지막 날인 31일 오전 11시 연세대 복합문화공간 백양누리관.

 이 건물 지하 1층 최영홀에서 '삼삼한 데이' 첫 기념행사가 열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부터 매년 3월 31일을 '삼삼한 데이'로 지정해 과도한 나트륨 섭취 지양과 건강한 식생활 실천문화 확산을 위한 범국민적 캠페인을 실시한다.

 식약처는 식품 소비 트렌드에 민감한 10~20대 젊은 층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연세대에서 '삼삼한 데이' 첫 기념일 행사를 개최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연세대 최영홀에서 급식 업계, 건강 전문가, 요리사 등과 삼삼한 토크를 진행하고 부산진구청어린이집, 광주 빛고을노인간호센터, 대전 LG유플러스 R&D센터, 용인 현대그린푸드 등 삼삼메뉴를 제공하는 급식소 현장을 화상으로 실시간 연결해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업계의 노력과 지원 필요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오 처장은 "우리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당류 섭취량은 지속 감소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나트륨은 세계보건기구(WHO) 권고기준(2천㎎/일)보다 1.5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식약처는 덜 짜게, 덜 달게 먹는 식생활 문화를 위해 저염·저당으로 식품을 만드는 것을 지원하고 영양 표시에도 저염·저당 표시를 확산하는 문화를 이끌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 처음 시행하는 '삼삼한 데이' 기념일이 국민 모두가 건강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깨닫고, 일상에서 나트륨 줄이는 작은 실천을 시작하는 의미가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염·저당 실천본부 위원장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토론에서 "건강한 삶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나트륨을 줄인 건강한 식생활이 중요하므로 '삼삼한 데이'가 하루로 끝나는 기념일이 아닌 건강한 삶의 의미를 다지고 새기는 기념일로 자리 잡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양광숙 식품정책과장은 외식업체들에 "제로 칼로리 얘기를 하면서 요즘 많은 노력을 해 주셔서 굉장히 반가운데 가격 인상이 조금 되어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이 좀 된다"며 "이런 좋은 정책을 할 때 가격도 조금 저렴하게 가는 방안도 같이 생각해 준다면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당부했다.

 이어 오 처장은 백양누리 외부에 설치된 건강 식생활 홍보부스를 방문해 학생들과 저염·저당 실천 방법을 알아볼 수 있는 '마이나슈 게임' 등을 체험하고 학생식당에서 급식을 먹는 학생들에게 나트륨 함량을 줄인 탄탄면을 배식했다.

 백양누리 머레이홀에서는 저염·저당 실천본부 위원인 신효섭 셰프(INS 키친 대표)가 복합조미료 대신 참깨소스로 감칠맛을 높이고 나트륨 사용량을 줄인 면으로 요리한 탄탄면과 저 나트륨 돈가스 등 삼삼메뉴를 조리하는 시연 행사가 진행됐다.

 한편 이날 9개 위탁급식업체 운영 집단급식소 335개소와 영양사가 없는 소규모 어린이·노인·장애인 급식소 3만8천개소에서는 나트륨을 줄인 건강한 삼삼메뉴를 동시에 제공했다.

 전국 초·중·고등학교, 군부대에서도 건강한 식생활 실천 방법을 홍보하는 등 전국적으로 나트륨 줄인 식생활 캠페인을 펼쳤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