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4일)

[오늘의 증시일정](14일)
◇ 추가 및 변경상장
▲ 대동 [000490](주식전환 1만3천352주 9천360원)
▲ 앱클론 [174900](주식전환 10만3천604주 9천652원)
▲ 소니드 [060230](유상증자 437만1천585주 549원)
▲ 노브메타파마 [229500](유상증자 81만5천216주 3천680원)
▲ 에스씨엠생명과학 [298060](유상증자 727만2천727주 1천100원)
▲ 애닉 [299910](유상증자 500만주 600원)
▲ 메지온 [140410](스톡옵션 4만4천3주 1만3천833원)
▲ 그린리소스 [402490](스톡옵션 1만3천500주 6천원)
▲ 한국자산신탁 [123890](주식소각)
▲ 엔에스이엔엠 [078860](CB전환 505만3천762주 744원)
▲ 애머릿지 [900100](CB전환 189만9천335주 1천53원)
▲ 엠벤처투자 [019590](무상감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1일) 주요공시]
▲ 오텍[067170], 180억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 이원컴포텍[088290] "美 리미나투스 주식 163억원에 취득…지분율 4.2%"
▲ 한국신용데이터 작년 380억원 영업손실…적자 규모 31% 커져
▲ 한세엠케이[069640], 120억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 투썸플레이스 작년 영업이익 327억원…역대 최대
▲ 귀뚜라미홀딩스, 작년 영업이익 496억원…23.5% 증가
▲ IHQ[003560], 12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中에 판 LG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 매각대금 2조2천억원 확정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눈으로 감염병 진단'…호서대 황영규 교수 차세대 센서 개발
시각적 색 변화만으로 바이러스를 감지할 수 있는 차세대 진단 센서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감염병 초기 대응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호서대는 황영규 교수가 나노 구조 기반의 바이러스 검출 센서 플랫폼인 '나노팟 플라즈모닉 센서'(NPS)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NPS 기술은 구조적 크기만으로 바이러스 여부를 감지할 수 있어 기존의 유전자 분석 진단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다. 특히 코로나19 같은 신종 감염병의 유행 초기처럼 유전자 정보가 불분명한 상황이나, 바이러스 변이로 인해 기존 진단키트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기존의 PCR 검사와 항원 진단키트는 바이러스의 유전자나 단백질을 인식해 진단하는 방식으로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변이 바이러스에 취약하다. 이에 반해 황 교수는 전혀 다른 접근을 시도했다. 유전자나 단백질 아닌 바이러스의 '크기'에 주목한 것이다. NPS 기술은 100나노미터 이하 크기의 바이러스를 직접 포착해 물리적 접촉만으로도 색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 실험에서 인공 바이러스(ALEV)를 포착한 순간 색상 변화가 확인돼 시각적 판별이 가능함을 입증했

메디칼산업

더보기
의약품 기부·희귀질환 지원…사회공헌활동 강화하는 제약업계
제약 기업이 업계 장점을 살린 사회공헌활동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재난 현장에 의약품을 기부하거나 특정 질환에 대한 인식 제고 캠페인을 진행하고 타 업계와의 협업에도 적극 참여하는 모습이다. 제약업계는 최근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 지원에 일제히 동참했다. JW중외제약과 일동제약은 각각 1억원, 6천만원 상당의 성금과 의약품 등을 기부했다. 휴온스그룹은 3억원을 전달했다. 유한양행은 산불로 화상을 입은 동물 치료를 지원한다. 동물구조단체 '위액트'에서 산불 피해 동물을 동물의료센터로 이송하면 유한양행이 협력사 리센스메디컬과 함께 화상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의료기기 등을 제공한다. 희귀질환 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환자 지원에도 한창이다. SK플라즈마와 JW중외제약은 17일 세계 혈우인의 날을 기념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양사는 각각 혈우병 환우를 위한 헌혈을 실시하고 여성 혈우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영상을 제작했다. 한독은 2월 세계 희귀질환의 날을 맞아 한국혈액암협회에 헌혈증 450장을 기부했다. 전달된 헌혈증은 수혈이 필요한 희귀질환 및 혈액암 환우를 위해 사용된다.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협업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대웅제약은 한국건강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