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매?…"디지털기기 사용,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낮춰"

美 연구팀 "57개 연구 메타분석…기술 사용, 인지 저하 위험 감소 효과"

 스마트폰·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하면 인지 능력이 떨어진다는 '디지털 치매'(digital dementia) 가설과 달리 기술 사용이 오히려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재러드 벤지 교수와 베일러대 마이클 스컬린 교수팀은 15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서 성인 41만여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57개 연구를 메타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을 약화한다는 '디지털 치매' 가설과 모순된다며 오히려 기술 노출이 기술적 예비력을 형성, 인지 기능 저하를 늦추는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기술은 전 세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 기술과 함께 성장한 첫 세대가 치매 증상이 흔히 나타나는 연령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일상적인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디지털 기기에 의존하면서 직접 기억, 계산, 정보 처리를 하는 능력이 퇴화한다는 디지털 치매 가설이 널리 알려졌지만, 반대로 정기적인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 보존 행동을 촉진해 인지 저하를 줄인다는 가설도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동료 심사 논문을 게재하는 주요 DB(Medline, PsycInfo, CINAHL, Science Direct, Scopus, Cochrane Library, ProQuest, Web of Science 등)에서 디지털 기술 사용과 노년기 인지 기능 관계를 조사한 연구를 검색, 기준을 충족하는 논문 57편을 선택해 분석했다.

 이들 연구는 성인 41만1천430명(평균 연령 68.7세)이 참여한 관찰 또는 코호트 연구로, 50세 이상의 일반적인 디지털 기술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인지 또는 치매 진단 결과를 통해 인지 능력 변화를 관찰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사용은 컴퓨터, 스마트폰, 인터넷 등을 사용하는 것 또는 이들 기기를 조합해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분석 결과 디지털 기술 사용에 따른 인지 장애 위험 오즈비(Odds Ratio)가 0.42(95% 신뢰구간)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그룹의 인지 장애 위험이 디지털 기술 사용이 적은 그룹보다 58% 낮다는 의미다.

 또 디지털 기술 사용과 인지 능력 간 관계를 평균 6.2년간 추적한 종단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술 사용이 인지 능력 저하 위험을 평균 26%(HR=0.74) 낮추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디지털 치매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찾지 못했고, 디지털 기술 사용의 인지 저하 감소 효과는 인구통계학적,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 인지 예비력 지표 등을 고려할 때도 유의미하게 유지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 연구는 디지털 기술 사용과 인지 건강 연관성을 보여주지만 인과적 메커니즘은 제공하지는 못한다며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기술 노출 유형과 시기가 인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ature Human Behaviour, Jared F. Benge et al., 'A meta-analysis of technology use and cognitive aging',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2-025-02159-9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