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티브코리아 "디지털 플랫폼으로 투석 환경 개선"

국내 출범 기념 기자간담회…"주요 장기 치료 전문 기업으로 도약"

 밴티브코리아는 "신장 치료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명 유지 장기 치료의 혁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임광혁 밴티브코리아 대표는 지난 1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한 국내 출범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포부를 전했다.

 지난 2월 밴티브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박스터의 신장사업부에서 분사해 독립 기업으로 출범했다.

 박스터 신장사업부는 세계 최초로 상업용 인공 신장과 복막투석 용액을 출시했다.

 대표적으로는 자동 복막투석 시스템과 디지털 환자 관리 플랫폼을 결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자동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른 의사결정을 내리고, 환자는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투석 데이터를 직접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임 대표는 "밴티브는 신장 및 생명 유지 장기 치료의 표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환자가 치료 과정에서 겪는 불편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복막 투석을 위한 24시간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집까지 투석액을 직접 배송하는 등 환자 중심의 서비스를 추진할 것"이라며 "말기콩팥병 인식 제고 및 투석 환경 개선을 위한 활동, 소아 신장 캠프 후원 등 사회 공헌 프로그램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임 대표는 신장 치료에 이어 주요 장기 치료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도 전했다.

 그는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을 비롯한 다장기 치료를 통해 중환자 치료 발전을 이끌겠다"며 "향후 패혈증 및 폐, 간 등 장기 부전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는 혁신을 추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RRT는 낮은 혈류 용액 속도로 멈추지 않고 장시간 투석 치료를 유지하는 체외 순환 혈액정화 요법을 의미한다.

 이날 두 번째 발표 연자로 나선 김용철 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국내 말기콩팥병 현황과 투석 치료 등에 관해 설명했다.

 김 교수는 "2023년 기준 한국의 말기콩팥병 유병자 수는 약 14만 명으로 지난 13년 동안 2.3배 증가했다"며 "콩팥 손상은 비가역적이기 때문에 말기 콩팥병 환자는 평생 투석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환자 삶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며 "의료진은 환자 중심의 치료 접근법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