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천안병원, 새 병원 개원 앞두고 진료 시뮬레이션 시행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은 새 병원 개원을 앞두고 지속해서 진료 시뮬레이션을 시행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시뮬레이션은 오는 5월7일로 예정된 새 병원 개원 후 환자들이 병원 이용에 필요한 진료·검사·치료·수납 등 운영 전반에 대한 사항들을 점검하는 모의훈련이다.

 새 병원은 현 병원 바로 옆 4만5천300㎡(1만3천700평) 부지에 지하 5층, 지상 15층, 1천병상 규모로 지어졌다.

 병원 관계자들은 외래, 응급실, 입원실, 수술실 등에서 환자들의 이동 동선을 면밀히 파악하고 전산·장비·기구·비품 등을 점검한다.

 이달부터 시행된 시뮬레이션은 매주 금요일마다 전체 부서가 모여 환자-의료진-사무직 등의 역할을 나눠 실제 모의훈련을 진행하고, 발견된 오류나 보완사항은 관련 부서에서 개선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이문수 병원장은 "반복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이 병원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보완해 가고 있다"며 "성공적인 개원과 안정적인 운영으로 최상의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익상 기자(isjang.jang@gmail.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