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뇌질환 헌팅턴병 치료길 열리나…유전자치료 임상서 효과

3년 치료 받은 환자, 대조군에 비해 질병 진행 속도 75% 늦춰져

 퇴행성 뇌질환인 헌팅턴병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유전자 치료법이 임상 실험서 효과를 보여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최근 보도했다.

 런던대학교 신경학과 에드 와일드 교수가 주도한 연구에 따르면 헌팅턴병 초기 증세를 보이는 환자들에게 새로 개발된 유전자 치료제를 뇌에 직접 주입한 결과, 3년간 최대 용량 주입 치료를 받은 환자 12명은 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 보다 운동 능력, 인지 능력, 일상생활 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질병 진행 속도가 75% 감소했다.

 아울러 중간 용량의 치료제를 주입한 환자 12명에게도 치료 효과는 있었으나 최대 용량을 주입한 환자보다는 효과가 작았다.

 와일드 교수는 "우리가 하는 일은 뉴런을 재프로그래밍해 스스로 약을 만드는 작은 공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치료법이 획기적이긴 하지만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일단 유전자 치료제 주입을 위해서 환자들은 12시간의 외과적 뇌수술을 견뎌야 한다.

 조지타운대학교 신경과 교수인 캐런 앤더슨은 3년간 질병 속도가 느려진 것은 큰 성과라고 평가하면서도 "신경외과 수술은 누구에게나 위험하며 뇌질환자는 더 취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앤더슨 교수는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다.

 앤더슨 교수는 아울러 이번 치료는 한번 받으면 예전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며 장기적으로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한다고 말했다.

 NYT도 이번 연구 결과가 아직 동료 평가를 받거나 학술지에 게재된 것은 아니라며 최종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예비 지표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후원한 유전차 치료제 개발사 유니큐어(uniQure)는 미국 전역에서 새로운 임상 실험 참가자를 모집해 임상을 계속할 예정이다.

 40세 전후로 주로 발병하는 헌팅턴병은 조절되지 않는 경련성 신체 움직임과 성격 변화, 치매 증상이 나타나다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질환이다. 아직 제대로 된 치료법은 없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의료 최후 보루 국립대병원 존립위기…'수술'없인 미래 없다
지역 필수의료의 붕괴가 현실화하는 가운데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는 국립대학병원이 인력 유출, 시설 노후화, 환자 감소의 삼중고에 시달리며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의 의뢰로 수행한 '국립대학병원 혁신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립대병원의 현실은 암담하다. 가장 시급한 문제는 의료 인력의 붕괴다. 지방 국립대병원의 병상당 의사 수는 0.36명으로, 서울 '빅5' 병원의 0.60명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의사 한 명이 감당해야 할 환자 수가 훨씬 많다는 의미다. 낮은 급여와 열악한 근무 환경은 의료진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으며, 특히 간호 인력은 2년 내 퇴사율이 50%를 훌쩍 넘어 숙련된 인력을 확보하는 것조차 버거운 실정이다. 낡은 시설과 장비는 환자들의 발길을 돌리게 만드는 또 다른 핵심 원인이다. 유방암 진단의 기본 장비인 맘모그래피의 경우 국립대병원의 장비 노후화율은 37.1%에 달하지만, 빅5 병원은 4.3%에 그쳤다. 최신 의료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려운 환경은 환자들의 수도권 '원정 진료'를 가속화하고, 이는 다시 병원의 수입 감소와 임상 경험 축소로 이어져 의료의 질을 떨어뜨리는 악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