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의대생 간담회에 참석한 이주호 부총리 [</strong>교육부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417/art_17453289866039_97ff25.jpg)
교육부는 22일 의학교육 정책을 결정할 때 의대생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학생 의견 수렴 기구인 의학교육위원회를 설치·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한의료정책학교 주최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정부와 의료계 간 진정성 있는 소통이 부족해 의료정책을 둘러싼 갈등이 이어져 왔다는 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의학교육위 구성안은 지난달 교육부가 발표한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에도 포함됐던 것으로, 세부 구성 방안은 이르면 5월 초 마련될 예정이다.
이 부총리의 간담회 참석은 대한의료정책학교의 요청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부총리는 "의정갈등 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개별적인 정책 때문이라기보다는 오랫동안 쌓여온 정부와 의료계의 불신에 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오늘 이 자리가 학생 여러분과 교육부는 물론 의료계와 정부 간 신뢰 회복의 계기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언급했다.
특히 "교육부는 많은 고심 끝에 의대 교육을 책임진 총장님들과 교수님들의 제안을 받아들여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조정하기로 결정했다"며 "정부는 무엇보다 의대생 여러분의 복귀와 의대 교육 정상화를 최우선에 두고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생 여러분이 가장 염려하는 것은 24·25학번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질지에 대한 것이라고 들었다"며 "정부와 대학은 의학교육의 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교육할 방안을 모색했다"고 했다.
이와 관련, 그는 "24·25학번을 분리교육하고 24학번이 먼저 졸업할 수 있는 다양한 모델을 이미 마련했고, 학교별 교육 여건에 따라 여러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운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본과 3·4학년의 임상실습도 차질이 없도록 지역의료원과의 연계를 통한 임상실습기관 확대 방안을 함께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4·25학번의 개별 교육과정에 따른 졸업 후 의사 국가시험과 전공의 정원 배정, 전공의 모집 일정 및 향후 전문의 자격시험 일정 유연화는 이미 복지부와 협의를 완료했고, 계획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안나 대한의료정책학교 교장은 모두발언에서 "더 이상의 피해를 막고 의학교육을 정상화하기 위해 마련한 간담회에서 부디 생산적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며 한 의대생이 전해온 장문의 편지를 소개했다.
이 의대생은 편지에 "지난 17일 정부가 2026년 의대 모집인원을 3천58명으로 확정해 발표했고 이것이 사태 해결의 초석이 될 것으로 본다. 신뢰를 회복하려면 누군가는 먼저 손을 내밀어야 하고 그 시작이 '3천58명'이라고 생각한다"고 적었다.
2시간가량 진행된 간담회에는 의대생 11명과 전공의 2명이 참석했다. 의대생 가운데 일부는 아직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에선 이 부총리와 인재정책실장, 의대교육지원관 등이 자리했다.
간담회는 모두발언 이후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의대생들과 교육부 실무자 간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장재영 대한의료정책학교 교육연구처장은 "크게 3가지가 논의됐다"면서 "학생들은 의학교육의 질 제고 문제와 의대 정원확대의 정당성 문제, 정책 거버넌스에 대한 불신, 제도 개선 필요성을 꼬집었다"고 말했다.
최안나 교장은 "학생들은 정부, 특히 교육부가 적극적인 소통에 나선 것을 시작으로 이 사태가 해결되기를 바란다는 이야기를 많이 했다"고 전했다.
김홍순 의대국장은 "오늘은 학생들의 복귀를 위한 조건을 이야기하는 자리는 아니었다"며 "교육부는 (강경파 의대생들 모임인) 의대협은 물론이고 어느 자리든 가서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교육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을 발표한 지난 17일 이후에도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크게 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출석률이 그렇게 많이 늘어난 것은 아니다. 정체 상태에 있는 게 사실"이라며 "이제 (정부가) 추가로 내놓을 수 있는 것은 학생들이 돌아오면 대학과 함께 열심히 교육하겠다는 것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