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교통사고 5~6월 많아…중상피해 25%는 주차장서 발생"

현대해상 교통사고 분석 결과…"오후 2~7시에 사고 60% 집중"

 어린이 교통사고는 봄철인 5~6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간대별로는 하원·하교 시간인 오후 2~7시에 사고 발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5월 가정의달과 어린이날의 맞아 이러한 내용이 담긴 교통사고 분석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를 위해 2019~2024년 현대해상 자동차보험으로 접수된 교통사고 중 보행자, 자전거, 개인형이동장치(PM) 피해 사고(차대차, 차량단독 사고 등 제외) 약 17만건을 분석했다.

 7~9세 어린이 피해 건수는 67.6명으로 30대 성인(43.3명) 대비 1.6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는 날씨가 따뜻해지며 어린이 외부 활동이 늘어나는 5~6월에 어린이 교통사고가 집중 됐다.

 5월 어린이 교통사고 평균 건수는 236건, 6월은 255건이었다.

 이는 겨울철인 1~2월(111건) 대비 2배 이상 많은 것이다. 전체 월평균(178건) 대비로도 1.3~1.4배 수준이다.

월별 교통사고 평균 건수

 시간대별로는 성인 교통사고가 하루 일과시간에 고르게 분포됐지만, 어린이 교통사고는 오후 2~7시에 60% 이상 집중된 것이 특징이었다.

 하원·하교하는 시간이나 놀이시간에 어린이 사고가 잦았다.

 6세 이하 유아의 경우 주차장에서 사고를 당한 경우가 많았다.

 6세 이하 경상피해 건의 19%, 중상피해 건의 25%가 주차장 주변에서 발생했다.

 다른 연령대의 주차장 사고 피해 건의 비율이 10% 내외인 것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다.

 도로나 주차된 차량 사이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사고가 발생한 비율도 높았다. 보행한 경우뿐 아니라 킥보드나 자전거를 타고 나오다가 차량과 충돌한 사례도 많았다.

 초등학생 어린이(7~12세)가 이러한 유형으로 사고가 난 건수는 2천368건(1세당 395건)인데 비해, 30대는 940건, 40대는 858건(1세별 각각 94건, 86건) 이었다.

 1세별 발생 빈도 기준으로 초등학생 어린이의 피해 건수가 30~40대 성인 대비 4.4배 더 많이 발생한 것이다.

 현대해상은 "아이들은 골목에서 뛰어나오거나 보행로에서 갑자기 길을 건너려고 방향을 틀 때, 또는 주차장 입구처럼 건너려는 길이 좁은 경우, 차가 다니고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하지 않고 앞만 보고 뛰어가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럴 경우 차량 운전자는 튀어나온 아이들을 발견하지 못하고 속도를 줄이지 못한 채 충돌해 심각한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며 "실생활에서 보호자와 함께 다닐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구체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