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한국제약바이오협회[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0/art_17475524350427_ad7800.jpg)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신약 개발'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고 실행 기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18일 창립 80주년(10월 26일)을 맞아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 K-Pharma의 극복과제'를 주제로 제28호 정책보고서(KPBMA Brief)를 발간했다.
이관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창립80주년기념사업 추진 미래비전위원장은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특별기고에서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글로벌 신약개발과 관련한 긍정적 여러 시그널이 있지만 더 많은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가장 큰 문제는 신약 개발에 자본 유입이 대폭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게다가 범국가적 차원에서 미래먹거리 산업인 신약개발에 필요한 우수 인재육성은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협회가 설정한 제약바이오 비전2030 중에서는 ▲ 신약 R&D 투자 매출액 대비 15% 이상 ▲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매출 1조원 이상) 5종 창출 등에 대해 '도전적 과제'라면서 민관이 역량을 결집해 적극 노력하면 신약 강국으로 우뚝 설 수 있을 것으로 관측했다.
오세웅 유한양행 부사장은 ▲ 뚝심 있고 끊임없는 연구개발 투자 ▲ 의과학자 및 개발전문가 육성 ▲ 바이오벤처 활성화와 지원을 통한 혁신 플랫폼 기술·초기 파이프라인 확보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동반 성장 ▲ 후기 임상 개발 역량과 필요한 자본 축적 및 주요 선진시장 직접 진출 등 신약개발 강국으로 성장할 전략을 제시했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한국 바이오텍들이 "이제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고 진단하고 이러한 모멘텀을 강화하고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텍과 정부가 상호 이해를 기반으로 현장의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소하고, 필요한 경우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원을 더욱 체계적으로 제공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연구 및 임상 개발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면서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기준을 위반할 수 있어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되는 만큼 신약개발 바이오텍에 특화된 상장 관리 기준을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다.
문여정 IMM인베스트먼트 전무는 "신약은 로마처럼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는다. 긴 개발 기간, 복잡한 규제, 치열한 경쟁 환경을 이겨내고 시장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인내와 투자, 그리고 산업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절실하다"며 "제약바이오 산업의 두 번째 도약이라는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정책·연구·투자 각 축이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고 하나의 생태계로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정책보고서에는 ▲ 약가 정책의 전환점에서 : 제약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언(김진이 보령[003850] 상무) ▲ AI가 바꾸는 신약개발의 미래(표준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 ▲ 약가 인하 정책이 제약기업의 성과와 행태에 미치는 영향(강창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전현배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최윤정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등 내용이 수록됐다.
앞서 제약바이오협회는 최근 여야 대선후보들에게 보낸 '제약바이오 강국 도약을 위한 제21대 대통령선거 정책제안'에서 정부 제약바이오 R&D 예산의 기업 지원 비율을 현재 13% 선에서 30%대로 높이고 제조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선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을 5%에서 10~15%로 상향 조정할 것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