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여주병원 지역외상협력병원 지정…경기도내 9번째

중증외상환자 긴급처치 뒤 원거리 권역외상센터로 이송 역할

 경기도는 세종여주병원(여주시 하동)을 도내 9번째 지역외상협력병원으로 지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2021년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과 파주병원이, 2023년에는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과 안성병원, 연천군보건의료원, 화성디에스병원, 화성중앙종합병원, 양평병원이 지역외상협력병원으로 지정됐다.

 지난 3일 파주시 금촌동 도로에서 트럭이 4m 아래로 추락하며 운전자가 구강 내 다량의 출혈로 기도 폐쇄 위험에 처했는데 헬기로 지역외상협력병원(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으로 이송돼 신속히 기도 확보 처치를 받은 데 이어 외상전담전문의가 헬기에 탑승해 권역외상센터(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로 옮겨 운전자가 안정을 되찾기도 했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지역외상협력병원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경기도가 마련한 지역외상 대응체계이자 도민 생명을 지키는 최전선"이라며 "광주와 평택 지역에 지역외상협력병원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