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이름 몇 자까지 가능할까…이름의 변천사

5자 넘으면 출생신고 안돼…최근 한국인-외국인 사이 자녀는 글자수 제한 없애
한국 국적자 최장 이름은 17자…다양성 증가 추세

 1970년대 코미디언 구봉서는 '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같은 긴 이름과 관련된 코미디 대사로 인기를 끌었다. 과거에는 실제로 이런 긴 이름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불가능하다.

 대법원이 최근 규정을 개정해 외국인과 한국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이름에 글자 수 제한을 없앴지만 부모가 모두 한국인인 경우 글자 수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당시 예규는 "이름은 그 사람을 특정해 주는 공적인 호칭으로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상당한 이해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난해하거나 사용하기에 현저히 불편을 초래하는 것은 쓸 수가 없다고 판단"된다고 설명했지만 어떤 '불편'이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비슷한 시기 이름에 쓸 수 있는 한자의 개수도 제한됐다.

 1990년 인명용 한자는 통상적으로 쓰이는 한자 2천731개로 한정됐다. 당시 호적 사무를 전산처리하기 위해서 한자 수 제한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후 인명용 한자는 관련 규정이 12차례 개정되면서 현재 9천389자로 늘었다.

 인명용 한자의 사례를 볼 때, 이름의 글자 수를 제한하게 된 '불편함'은 전산처리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글 이름 짓기라는 당시 시대 흐름도 이름의 글자 수 제한에 한몫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에는 순우리말 이름 짓기가 유행했다.

 항렬(돌림자)을 따라 한자로 이름을 짓는 것이 전통적인 작명법이었는데, 순우리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개성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맞물리면서 한글 이름이 부상하게 됐고 그러면서 이름이 길어지게 됐다.

 한자는 그 의미를 압축적으로 전달할 수 있지만 순우리말은 풀어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글학자 배우리 씨가 쓴 책 '우리말 고운 말 고운이름 한글이름'에는 10글자 내외의 다양한 한글 이름이 수록돼 있다.

 예컨대 '정우람히너른바회', '박차고나오노미새미나', '황금독수리온세상을놀라게하다', '윤하늘빛따사로움온누리에' 등이 있다.

 특히 김텃골돌샘터 씨의 가족 이름이 흥미롭다. 김씨의 아내 이름은 '강뜰에새봄결'이고, 아들은 '김빛솔여울에든가오름', 딸은 '김온누리빛모아사름한가하'이다.

 이런 한글 사랑 덕분에 우리말살리는겨레모임은 지난 2007년 김씨를 우리말지킴이로 선정하기도 했다.

 글자 수 제한이 등장하기 전에는 얼마나 긴 이름이 있었을까.

' 역사 속의 사법부'에 따르면 성이 박씨이고 이름이 '하늘별님구름햇님보다사랑스러우리'인 17자가 한국 국적자 중 가장 긴 이름이다.

 대상을 넓히면 이중국적자인 '프라이인드로스테쭈젠댄마리소피아수인레나테엘리자벳피아루이제'씨의 30자 이름이 우리나라에 등록된 가장 긴 이름이다.

 '역사 속의 사법부'가 2009년에 발간됐기에 그 이후에 이보다 더 긴 이름이 등록됐을 가능성도 있다.

 외국인이 귀화했을 경우 이름에 글자 수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1998년부터는 외국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 태어난 자녀의 경우 아버지 나라 신분등록부에 기재된 외국식 이름으로 출생신고를 하면 글자 수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러다 이번에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 사이에 출생한 자녀의 이름까지 글자 수 제한이 없어졌다.

 ◇ 이름만 보면 남녀 구별?…최근 들어 중성적 이름 등장

 한때 한글 이름이 유행했던 것처럼 시기마다 인기 있는 이름이 달랐다.

 '역사 속의 사법부'가 정리한 이름 순위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통계서비스'가 공개하는 상위 출생신고 이름 현황을 더해 10년마다 가장 많이 접수된 이름 순위를 살펴보니 남자의 경우 1948년, 1958년, 1968년에는 '영수', '영호', '영식', '영철'이라는 이름이 꾸준히 인기가 높았다.

 이 중 '영철'은 최근에도 한 연예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남성 출연자들에게 부여된 가명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1978년을 기점으로 남자 이름은 '-훈'이 유행하기 시작한다. '정훈', '성훈', '상훈', '지훈' 등이 그 사례다.

 2000년대 들어서는 '민준', '준서', '서준', '하준'과 같이 '준'이 들어간 이름이 강세를 보였다.

 [표] 남자 이름 연도별 추이

 

순위 1948년 1958년 1968년 1978년 1988년 1998년 2008년 2018년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1 영수 942 영수 1,488 성호 1,716 정훈 1,965 지훈 2,013 동현 2,240 민준 2,532 서준 2,767
2 영호 795 영철 1,352 영수 1,503 성훈 1,518 성민 1,608 지훈 2,239 지훈 2,081 하준 2,471
3 영식 773 영호 1,309 영호 1,497 상훈 1,445 현우 1,433 성민 1,854 현우 1,838 도윤 2,107
4 영철 660 영식 1,227 영철 1,336 성진 1,428 정훈 1,367 현우 1,810 준서 1,824 시우 2,093
5 정수 595 성수 1,031 정호 1,297 지훈 1,371 동현 1,319 준호 1,773 우진 1,730 지호 1,930

 

 ※ 1998년까지는 '역사 속의 사법부'에서 발췌. 나머지는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통계서비스'가 공개하는 상위 출생신고 이름 현황

 여자 이름의 경우 1978년 이전까지만 해도 '-자', '-숙', '-희' 등의 특정 이름으로 쏠림 현상이 심했다.

 이 가운데 '순자', '영자' 등의 '-자'는 일본식 이름 '-코(子)'의 잔재였다.

 '영숙', '정숙', '명숙', '경숙' 등의 '-숙'(淑)은 '맑고 깨끗하며 정숙하다'는 의미로, 전통적으로 여성에게 바라는 덕목을 담은 이름이라고 할 수 있다.

 '영희', '경희' 등에 많이 쓰인 '희'(姬)는 공주나 귀한 여성을 지칭할 때 쓰이는 한자어로, '아름답고 고귀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1978년 이후엔 '지영', '지혜', '지은' 등 '지'(智)가 많이 등장하며 지성 덕목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쏠림 현상도 완화됐다.

 특히 여자 이름 1위의 건수는 1968년 8천963건에서 2018년 2천531건으로 줄어들었다.

 2018년 남자 이름 1위 건수(3천86건)와 비교하면 여자 이름이 훨씬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2000년대 들어 남녀 모두 이름만 봐서 성별을 짐작하기가 쉽지 않은 중성적 이름이 부상하기도 했다. '유진'(여자), '지호'(남자) 등이 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표] 여자 이름 연도별 추이

 

순위 1948년 1958년 1968년 1978년 1988년 1998년 2008년 2018년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이름 건수
1 순자 5,636 영숙 7,598 미경 8,963 지영 4,315 지혜 4,713 유진 5,937 서연 3,086 지안 2,531
2 영자 4,284 정숙 6,278 미숙 8,181 은정 4,250 지은 3,536 민지 4,077 민서 2,726 하윤 1,986
3 정순 4,021 영희 5,144 경희 5,518 미영 3,781 수진 3,508 수빈 3,702 지민 2,707 서아 1,967
4 정숙 3,960 명숙 5,096 경숙 5,043 현정 3,745 혜진 3,141 지원 3,578 서현 2,488 서윤 1,924
5 영숙 3,667 경숙 4,984 영숙 4,898 은주 3,603 은지 3,108 지현 3,486 서윤 2,364 하은 1,805

 

※ 1998년까지는 '역사 속의 사법부'에서 발췌. 나머지는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통계서비스'가 공개하는 상위 출생신고 이름 현황

 최근 2년(2023∼2024년)만 놓고 보면 남자 이름은 '이준', '도윤', '하준', '은우', '서준' 등이, 여자 이름은 '서아', '이서', '아윤', '지아', '하윤' 등이 많이 사용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장기 손상과 패혈증 유발 '칸디다증' 차료제 개발…부작용↓ 효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현정 교수팀과 서울아산병원 정용필 교수팀은 부작용은 적고 치료 효과는 높은 칸디다증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칸디다증은 곰팡이(진균)의 일종인 '칸디다'가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지며 장기 손상과 패혈증을 유발할 수 있는 치명적인 감염 질환이다. 최근 면역 저하 치료, 장기 이식, 의료기기 사용 증가로 칸디다증 발병이 급증하고 있지만, 기존 항진균제는 낮은 표적 선택성으로 인해 인체 세포에 영향을 미쳐 내성을 일으키는 등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유전자 억제 기술과 나노소재 기술을 융합해 칸디다만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유전자 기반 나노치료제(FTNx)를 개발했다. 우선 칸디다 곰팡이의 세포벽을 만드는 두 가지 효소를 동시에 표적할 수 있는 짧은 DNA 조각을 탑재해 금 나노입자 기반 복합체를 제작했다. 이어 칸디다 세포벽의 특정 당지질 구조(당과 지방이 결합한 구조)와 결합하는 표면 코팅 기술을 적용해 인체 세포에는 전달되지 않고 칸디다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정밀 표적 효과를 구현했다. 이 복합체는 칸디다 세포 안으로 진입한 뒤 곰팡이 벽을 만드는 두 효소의 합성을 차단, 세포벽을 붕괴시켜 세균의 생존과 증식을 억제

메디칼산업

더보기
미 의약품 최대 200% 관세 예고…제약업계 대응책 마련 고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에 앞서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주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기업 인수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는 방안 등 대응책을 구체화하는 모습이다. 일부 제약바이오 업체는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상을 초래할 수 있는 초고율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당국 간 협상을 통해 타협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셀트리온 "미 기업 인수 검토"…SK바이오팜 "현지 생산 전환 가능"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의약품에 대해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2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예고했다. 바이오업계 맏형 격인 셀트리온은 이와 관련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기간별로 준비했다며 현지 기업 인수 가능성 등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9일 주주 서한을 통해 단기 전략으로는 "2년분의 재고 보유를 완료했고 향후 상시 2년분의 재고를 보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기 전략으로는 미국 판매 제품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