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그치니 곧바로 폭염…한낮 최고 35도 '찜통더위' 이어져

고온다습 공기 유입돼 밤도 더워…서울·제주 등 이미 간밤 열대야
북태평양고기압 더해 티베트고기압까지 확장하면 더위 극심해져
대기 중 수증기 많아 '거센 소나기' 우려

 폭우가 그치니 폭염이 찾아온다.

 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일본 동쪽 해상에 중심을 둔 북태평양고기압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정체전선이 북상, 중부지방도 이날로 장마가 종료되겠다.

 성질이 다른 공기들이 충돌하며 형성된 '띠' 모양 비구름대가 한 지역에 장기간 머물면서 한 지역만 겨냥한 듯한 극한호우가 내렸다.

 지난 16일 이후 1시간에 100㎜ 이상 내린 사례는 총 3건(17일 충남 서산과 경남 산청 단성면, 20일 경기 포천시 내촌면)이다.

 1시간 강우량이 90㎜대인 경우는 5건(16일 충남 서천 서면, 17일 충남 홍성과 전남 나주, 19일 산청 시천면과 인천 옹진군 영흥도)이다.

 앞으로는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를 완전히 덮은 상태가 이어지겠다.

 남서풍 또는 서풍이 불며 고온다습한 공기가 들어와 무더위가 나타나겠다.

 서울과 충남 보령, 전남 해남·장흥·진도·목포·완도, 제주 등에서는 이미 지난밤 열대야(밤 최저기온이 25도 밑으로 내려가지 않는 현상)가 나타났다.

 완도엔 폭염경보, 산지·중산간을 제외한 제주와 전남 장흥·강진·영암·무안, 광주, 강원 강릉·동해·삼척엔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

 폭염경보와 폭염주의보는 각각 일최고체감온도가 35도 이상과 33도 이상인 상황이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면 발령된다.

 기온은 다음 주 내내 오름세를 유지하겠으며 특히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해 내내 열대야가 이어지는 지역이 많겠다.

 월요일인 21일 아침 최저기온은 21∼27도, 낮 최고기온은 30∼34도 겠다.

 22일과 23일은 아침 최저기온이 22∼27도와 22∼26도, 낮 최고기온이 29∼35도와 29∼34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24일부터 일주일간은 아침 기온이 23∼26도, 낮 기온이 30∼35도겠다.

 만약 티베트고기압마저 우리나라를 덮을 정도로 세력을 확장하면 이달 초처럼 극심한 더위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 주까지는 티베트고기압이 우리나라 서쪽에 머물면서 우리나라를 덮을 가능성은 작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만 티베트고기압이 세력을 넓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언제든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이중으로 우리나라를 덮어 폭염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더위만 주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고온다습한 남서풍과 서풍이 지속해서 불어 들면서 소나기가 쏟아지는 일이 잦겠다. 비의 재료가 되는 수증기가 풍부한 가운데 낮 동안 지상의 공기가 달궈져 대기가 불안정해지면서 강한 소나기가 내리는 일이 잦겠다.

 또 해수면 온도가 높아 필리핀해상에서 '태풍의 씨앗'이라고 할 수 있는 열대요란이 언제든 발달할 수 있는 상황이다.

 특히 27일 전후로 우리나라와 가까운 필리핀해상에 열대요란이 다수 발달할 가능성이 있는데,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 동쪽으로 약간 물러난 상태와 겹치면 한반도로 태풍이 북상해올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