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한증' 유전지표의 지방간 등 대사질환 연관성 밝혔다

진희정 박사팀, 지방 대사 인과성 확인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의약데이터부 진희정 박사팀이 '한증'(寒證) 관련 유전 지표가 지방을 생성하고, 이를 제거하는 과정(지방 포식)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기전을 새롭게 밝혀냈다고 1일 밝혔다.

 한의학에서 '한열'(寒熱)은 한증과 열증 형태로 나타난다.

 진희정 박사팀은 대전시민 건강 한의 코호트를 구축, 유전체 역학 정보를 분석해 한증 연관 유전지표(SP1 유전자 내 2개 유전지표 포함, 총 56개)를 찾았다.

 한증을 약하게 하는 유전 형질을 가진 집단은 간세포에서 지방 생성이 더 활발하고, 지방 포식 작용은 줄어든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한의학 기반 집단 추적·관찰 연구 코호트에는 시민 4천여명이 참여했다.

 한증과 연관한 유전변이가 SP1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간세포 내 지방 생성 경로 활성도는 높아지고, 지방 포식작용은 줄어 지방이 쌓일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포함한 간 섬유증, 비만, 당뇨병 등 각종 대사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지방 생성 및 포식에 대한 한증 유전 요인의 역할을 규명한 것은 대사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 지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유전자들과 질병(Genes & Diseases)'에 실렸다.

한의학연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3분 만에 질병 현장 진단…효소 모방 촉매 반응 38배 향상
국내 연구진이 기존 효소 모방 촉매보다 수십배 이상 향상된 선택도와 단 3분 만에 육안으로 현장 진단(POCT)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팀이 서울대 한정우·가천대 김문일 교수 연구팀과 과산화효소 반응만을 선택적으로 하면서도 높은 반응 효율을 보이는 새로운 단일원자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급성 질병 조기 진단과 만성 질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환자 가까이서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POCT 기술 핵심은 특정 물질을 정확히 인식하고 반응하는 '효소'에 있다. 효소를 이용하면, 질병 진단 물질인 바이오마커 색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기존 자연 효소는 고비용과 불안정성이라는 한계가 있고, 이를 대체하는 효소 모방 촉매는 낮은 반응 선택도가 문제다. 연구팀은 촉매의 반응 선택성을 원자 수준에서 제어하기 위해 루테늄(Ru)에 금속과 결합해 화학적 성질을 조절하는 '염소(Cl) 리간드'를 3차원 방향으로 결합하는 '독창적 구조 설계 전략'을 활용, 정확한 진단 신호만을 검출하는 데 성공했다. 실험 결과, 기존 효소 모방 촉매보다 38배 이상 선택도가 향상됐고, 과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