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 70%는 여름철 발생…5년간 13명 사망

37%는 일상생활 중 발생…카드 등으로 벌침 밀어내야
뱀물림은 고령층 밭일 중에 많아…물리면 60%가 입원

  야외 활동이 많은 여름과 초가을에는 벌쏘임·뱀물림 사고도 늘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1일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23개 참여 병원의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벌쏘임 사고(3천664건)의 70.5%, 뱀물림 사고(726건)의 57.0%가 7∼9월에 발생했다고 밝혔다.

 벌쏘임 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88명이 입원했고, 13명은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벌쏘임은 일상생활(37.2%), 여가 활동(24.3%) 중에 주로 발생했고, 이어 업무 중(20.0%) 순이었다.   벌초·제초 등 업무 중이 아닐 때도 사고가 빈번했던 셈이다.

 특히 30대 이하는 휴식, 누워 있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등산과 같은 여가 활동 중 벌에 쏘인 비율이 높았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벌쏘임 사고는 특히 정오부터 오후 6시 사이, 주말에 많이 발생했다.

 성별로는 남자(64.4%)가 여자보다 많았고 연령은 60대(25.8%), 50대(22.1%)가 많았다.

 발생 장소는 야외·강·바다(37.5%), 도로(18.8%), 집(16.1%), 농장·1차 산업장(9.6%) 등이었다.

 벌에 쏘인 부위는 손(25.5%), 팔(17.6%), 얼굴(13.5%), 다리(12.2%) 순으로 나타났다.

 뱀물림 사고는 주말(40.8%)에 많이 발생했고, 연령별로는 60대(28.9%)와 70대 이상(24.0%), 50대(19.6%)가 전체 환자의 72.5%를 차지했다.

 제초·농작물 수확 등 업무 중에 사고가 난 경우가 27.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상생활(24.2%), 창고 정리·분리수거 등 무보수 업무(22.9%) 순이었다.

 물린 부위는 손(60.6%), 발(20.9%), 다리(9.3%) 등이었다.

 뱀물림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726명 중 433명이 입원했고, 5명은 숨졌다.

 질병청은 "뱀물림 사고는 50대 이상 고령층이 밭일하는 중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면서 "뱀물림 사고는 입원 비율이 59.6%로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용카드 등으로 벌침을 밀어내 제거하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과민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뱀을 발견했을 때는 즉시 대비 후 119에 신고해야 한다. 만약 뱀에게 물렸다면 물린 부위가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움직임을 자제해야 한다.

 질병청은 상처에 약초를 으깨어 바르거나 칼로 상처를 내어 짜내거나 입으로 독을 빨아내는 행동, 술이나 카페인을 마시는 행동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뱀물림 안전수칙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인과 규명
순천향대 부속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 교수팀은 최근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비자살적 자해는 자살하려는 의도 없이 자기 신체에 고의적이고 반복적으로 해를 입히는 행위를 말한다. 심 교수는 원광대병원 윤성훈 교수(정신건강의학과)와 함께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51명과 자해 행동이 없는 청소년 50명의 뇌파를 비교·분석했다. 연구 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 교수는 "뇌 전극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며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뇌 전극의 이상을 보이는 청소년은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인지행동치료와 기분을 조절하는 약물치료가 동시해 시행되는 통합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억제 조절력을 강화하고, 우울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둔 맞춤형 치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