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7일)

[오늘의 증시일정](7일)
◇ 신규상장
▲ 아이티켐[309710]

 

    ◇ 추가 및 변경상장
▲ 유니켐 [011330](주식소각)
▲ 감성코퍼레이션 [036620](주식소각)
▲ 파이오링크 [170790](주식소각)
▲ JB금융지주 [175330](주식소각)
▲ 온타이드 [005320](CB전환 7만8천277주 511원)
▲ 케이엠더블유 [032500](CB전환 5만5천799주 1만862원)
▲ 모아라이프플러스 [142760](CB전환 15만3천531주 1천954원)
▲ 큐러블 [086460](무상감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6일) 주요공시]
▲ 대한항공[003490], 2029년까지 더 큰 737-10 12대 첫 도입…737-8서 변경
▲ LG CNS, 727억원 규모 중간 배당…"주주 가치 제고"
▲ iM뱅크, 1천억원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 고영[098460], 2분기 영업이익 25억원…작년 동기 대비 20.5%↓
▲ 고려아연[010130] 2분기 영업이익 2천589억원…작년 동기 대비 3.7%↓
▲ 파크시스템스[140860] 2분기 영업이익 120억원…작년 동기 대비 6%↓
▲ 해킹 파장에 실적 급감한 SKT…"보안 강화로 신뢰 회복"
▲ 현대홈쇼핑 2분기 영업이익 302억원…작년 대비 10% 감소
▲ 셀트리온[068270] 2분기 영업이익 2천425억원…234.5%↑
▲ 한국투자증권 2분기 영업이익 6천291억원…작년 대비 64.1%↑
▲ 한국금융지주[071050] 2분기 영업이익 5천856억원…작년 대비 95.5%↑
▲ 하나투어[039130] 2분기 영업이익 작년 동기보다 163% 늘어
▲ 하이브[352820] 2분기 영업이익 659억원…작년 동기 대비 29.5%↑
▲ 휴온스[243070] 2분기 영업익 131억원…"전부문 성장에 역대 최대 매출"
▲ 동진쎄미켐[005290] 2분기 영업이익 538억원…작년 동기 대비 7.7%↑
▲ 휴젤[145020] 2분기 영업이익 567억원…33.6%↑
▲ 에스엠[041510] 2분기 영업이익 476억원…작년 동기 대비 92.4%↑
▲ 현대백화점[069960], 2분기 영업이익 103%↑…"면세점·지누스 개선"
▲ LS마린솔루션, 유상증자 이틀 만에 '완판'…청약률 102%
▲ 코오롱ENP 2분기 영업이익 122억원…전년 동기 대비 24.9%↑
▲ 카카오게임즈[293490], 차기작 줄줄이 연기…"완성도 우선"
▲ 코미코[183300] 2분기 영업이익 302억원…작년 동기 대비 18.2%↓
▲ 쿠팡, 꽁꽁 언 소비심리에도 안팎서 '훈풍'…낮은 이익률은 과제
▲ 롯데에너지머티, 2분기 영업손실 311억원…적자 전환
▲ 에코프로에이치엔[383310] 작년 영업이익 71억원…전년 대비 35.3%↓
▲ 에코프로[086520] 2분기 영업이익 162억원…흑자 전환
▲ 에이피알[278470] 2분기 영업이익 846억원…작년 동기 대비 201.9%↑
▲ SK텔레콤[017670] 2분기 영업이익 3천383억원…37.1%↓
▲ 카카오게임즈[293490] 2분기 영업손실 86억원…적자 전환
▲ 카카오뱅크[323410] 상반기 순익 2천637억원 또 역대 최대…1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먹는 코로나 치료제 약국 재고 점검…"개선 모색"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중 하나인 '팍스로비드'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질병관리청이 관계기관 간 협의를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임숙영 차장이 6일 서울시 소재 조제약국과 호흡기 클리닉을 방문해 현장 운영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중증 환자 또는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환자에게 처방되는 먹는 치료제다. 질병청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약국 등에 공급하다가 지난 6월부터 약국 및 의료기관이 제약사로부터 구매해 사용하는 시중 유통체제로 전면 전환됐다. 환자 본인 부담금은 한 팩(30정)에 4만7천원 수준으로 크지 않지만,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비용까지 합산하면 약값이 100만원에 육박하는 고가의 약이다. 현행 체제에선 약국이 먼저 제약사에 약값을 지불한 뒤 재고로 보유하고 있다가 실제로 약이 판매되면 환자와 공단에 약값을 청구해서 받아야 한다. 약이 팔리지 않으면 제약사에 반품할 수 있기는 하지만 워낙 약값이 비싼 탓에 애초에 물량을 많이 구비해두는 약국이 적은 것으로 질병청은 보고 있다. 이 경우 환자가 조금만 늘어도 금방 재고가 동날 수 있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