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랏빚' 국채이자 2020년 18조→작년 28조…올해 30조 넘는다

확장재정 속 부채관리 '딜레마'…팬데믹 국채발행분 속속 만기, 내년 98조

  정부의 '확장재정' 기조가 뚜렷해지면서 나랏빚 관리가 주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규모 초과세수를 누렸던 과거 문재인 정부와 달리, 잠재성장률 저하와 관세충격 등으로 팍팍한 세수여건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지출증가의 상당부분을 적자국채 발행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표] 국채 이자비용 추이

(단위: 억원)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국고채 168,315 177,384 194,361 230,693 267,526
외평채 2,803 2,817 3,027 3,055 2,658
국민주택채권 15,308 11,512 13,019 12,595 12,022
국채 186,426 191,713 210,407 246,343 282,206

 

※ 국채는 국고채, 외평채, 국민주택채권 합계

 17일 국회예산정책처와 재정정보 포털 '열린재정'에 따르면, 정부의 국채 이자비용(결산 기준)은 2020년 18조6천억원에서 지난해 28조2천억원으로 4년간 약 10조원(51.4%), 연평균 13%씩 증가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지출 증가세에 속도가 붙으면서 국채 이자비용이 급격히 불어난 것이다.

 2021년 19조2천억원으로 20조원에 바짝 다가섰고, 2022년(21조원) 20조원대를 넘어서면서 2023년에는 24조6천억원으로 커졌다.

 국채는 국고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여기에 외국환평형기금채권과 국민주택채권을 더한 개념이다. 국고채만 놓고 보면, 2020년 16조8천억원에서 지난해 26조8천억원으로 이자비용이 급증했다.

 올해 이자비용은 30조원을 넘게 된다.

 정부는 국고채 차입이자상환 예산으로 약 30조원을 편성했고, 외평채 이자상환 명목으로도 6천600억원을 배정했다.

 정확한 이자비용은 시중금리를 반영해 추후 결산 과정에서 확정되지만, 최소한 30조원을 웃돌 것으로 보인다.

 정부 총지출에서 국채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3.4%, 2021년 3.2%, 2022년 3.1% 등으로 3%대 초반에 머물다가 2023년 4.0%, 지난해 4.4%로 높아졌다.

 2020년대 초반 코로나 팬데믹 당시 재정지출이 급증한 탓에 오히려 소폭 하락하기는 했지만 최근엔 국채 이자비용이 전체 재정지출의 4%대 중반까지 치솟았다.

 [표] 총지출 대비 국채 및 국고채 이자비용 비중

(단위: 조원)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국고채(A) 16.8 17.7 19.4 23.1 26.8
국채(B) 18.6 19.2 21.0 24.6 28.2
총지출(C) 549.9 601.0 682.4 610.7 638.0
국고채 비중 (A/C) 3.1% 3.0% 2.8% 3.8% 4.2%
국채 비중 (B/C) 3.4% 3.2% 3.1% 4.0% 4.4%

 코로나19 시기에 대규모로 발행된 국채물량의 만기가 속속 도래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작년 말 기준으로 연도별 만기도래 국고채 물량은 올해 94조원, 내년 98조원에 달한다. 2027년에 약 74조원으로 줄었다가, 2028년에 이르러서야 50조원대로 떨어지게 된다.

 올해 두차례 추가경정예산이 편성된 것도 추가적인 변수다.

 바이백(국채 조기상환) 규모에 따라 변동 여지가 있지만, 올해와 내년 모두 100조원 안팎의 차환발행 물량이 채권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셈이다.

 이는 채권가격에 하락(금리 상승) 압력을 가하면서 정부의 이자비용 부담을 키우는 요인이 된다.

 일시적인 세입-세출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은행에서 일시 대출하거나 재정증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규모도 늘고 있다.

 정부가 올해 1~7월 누적으로 한은에서 일시 차입한 자금은 113조9천억원에 달한다. 종전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같은 기간(105조1천억원)보다 8.4% 증가한 규모다.

  7월 말 누적 기준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90조5천억원, '세수 펑크'가 심했던 2023년 100조8천억원 등을 훌쩍 뛰어넘은 차입 규모다.

 다만, 정부가 7월 중 43조원의 일시 대출금을 한은에 다시 갚으면서 7월 말 잔액은 2천억원 수준으로 떨어진 상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최근 정주연 박사 연구팀이 폐암 세포만 인식해 공격하는 초소형 항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1위로, 그중 전체 폐암 환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비소세포 폐암인 폐선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 후 재발률도 높다. 연구팀은 폐선암 세포에서 많이 발견되는 단백질인 'CD155'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초소형 항체 'A5 나노바디'를 개발했다. 이 나노바디는 일반 항체 크기의 10분의 1 수준으로 작아 몸속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정상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 표면에만 달라붙는 등 정밀성도 높다. 연구팀은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담은 약물 캡슐에 나노바디를 결합, 암세포 표면의 CD155 단백질에 항암제가 도달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암세포 내부로 전달되는 약물의 양이 최대 3배 이상 증가했고, 폐선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달라붙어 암세포의 이동과 침투를 50% 이상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실험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모델을 활용한 실험에서 종양 크기는 70∼90%까지 줄었고, 세포 사멸 지표도 크게 증가했다. 또 간,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도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암제가 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