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주스, 구강에 해롭다?…"침 작용으로 10분내 영향 사라져"

英 연구팀 "건강한 섭취법은 한 번에 짧게 마시고 물로 입안 헹구는 것"

 단맛에 산성을 띤 사과주스는 구강 건강에 해롭다고 알려졌지만, 그 영향은 침의 보호 작용으로 10분 안에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사과주스를 여러 번 나눠 오래 마시지 않고 한 번에 짧게 마시면 해로움을 줄일 수 있다고 권고했다.

 영국 포츠머스대 마흐디 무타하르 박사팀은 5일 오픈액세스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서 성인 32명에게 사과주스를 마시게 한 다음 마시는 방법이 침의 구강 및 치아 보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무타하르 박사는 "사과주스는 입의 자연 보호막을 일시적으로 방해하지만, 그 효과는 10분 안에 사라지기 시작한다"며 "이 연구가 과일주스를 건강하게 마실 수 있는 새로운 위생 습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음료가 침이 만드는 보호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알지만 정확히 어떤 방식으로, 얼마나 오래 영향을 주는지는 명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1분간 사과주스와 물로 입을 헹굴 때 침의 마찰 특성과 막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점탄성, 침 속 단백질 농도 및 조성 등이 어떻게 변하는지 첨단 분석기법을 이용해 조사했다.

 물이나 주스로 입안을 헹구기 전과 후 침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두 가지 모두 침의 윤활 기능을 약화시켜 마찰이 크게 증가했다.

 마찰 증가 폭은 물이 사과주스보다 컸으나, 사과주스로 인한 윤활 기능 저하는 10분 만에 원래 수준을 회복한 반면, 물로 인한 윤활 기능 저하는 같은 시간에 원래 수준의 절반만 회복하는 데 그쳤다.

 반면에 침 속 총단백질 농도는 물의 경우 1분 만에 크게 감소했지만, 사과주스는 물과 같은 수준으로 단백질이 감소하는 데 10분이 걸렸다.

 특히 사과주스를 마실 때는 면역글로불린, 시스타틴, 탄산탈수소효소가 크게 줄었지만 윤활 기능에 중요한 단백질인 뮤신은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또 과일주스는 입안 면역 관련 단백질도 감소시켜 구강 면역 방어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전신 면역 체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타하르 박사는 "사과주스는 다른 산성 음료처럼 치아 등 구강 건강에 즉각 해를 준다고 오랫동안 여겨져 왔지만 이 연구는 침이 입을 보호하고 빠르게 회복시켜 장기적인 손상을 막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어 "핵심적인 발견은 사과주스를 한 번에 짧게 마시는 것은 해롭지 않다는 것"이라며 "사과주스를 반복해 마시거나 마신 뒤 물로 입을 헹구지 않아 입안을 오랜 시간 사과주스에 노출하면 구 강건강에 나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구강 건강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사과주스 섭취법으로 ▲ 조금씩 오래 마시지 말고 빨리 마실 것 ▲ 마신 후 즉시 물로 입안을 헹굴 것 ▲ 빨대를 사용해 산성 음료와 치아의 직접 접촉을 줄일 것 ▲ 두 번째 음료를 원한다면 먼저 물을 조금 마시고 기다린 뒤 마실 것 등을 권고했다.

 ◆ 출처 : PLOS One, Mahdi Mutahar et al., 'Short-term effects of sweetened acidic beverages consumption on human saliva: Colloidal properties and protein composition',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33002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