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충원율 서울 70% vs 강원 52%…'빅5' 병원은 74%

전국 기준 정원 대비 64.8%…"지역·필수의료 강화대책 시급"

 사직 전공의들이 이달 초 대거 복귀한 가운데 시도별 전공의 충원율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국 수련병원의 전공의는 모두 1만305명으로, 수련병원별로 결정된 올해 전공의 정원(1만5천925명)의 64.7%에 해당한다.

 기존 전공의 2천321명에 하반기 모집을 통해 돌아온 사직 전공의 등 7천984명을 더한 숫자다.

 올해 정원 대비 전공의 충원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서울의 경우 정원 7천261명 중 70.4%인 5천111명이 채워져 17개 시도 가운데 충원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69.0%), 경기(64.5%), 울산(64.0%)도 충원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 제공]

 반면 세종은 정원 9명 중 4명만 채워졌으며, 강원도 정원 468명의 절반을 조금 넘는 244명(52.1%)만 채워진 상태다.

 대구(54.9%)와 충북(55.9%)의 충원율도 저조했다.

 의정 갈등 사태 이전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전공의 충원율에 격차가 있었는데,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도 수도권에서 더 활발하게 이뤄진 탓에 격차가 더 벌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복지부가 밝힌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를 보면 수도권 병원은 모집인원의 63.0%를, 비수도권 병원은 모집인원의 53.5%를 이번에 선발했다.

 한편 서울 시내 5대 대형병원인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이상 가나다순) 등 이른바 '빅5'의 전공의 숫자는 2천809명으로 늘어났다.

 기존에 수련 중이던 629명에 이번 하반기 모집에서 선발된 2천180명이 더해진 것으로, 올해 정원(3천800명) 대비 73.9%다.

 빅5 병원의 경우 이번 하반기 모집을 통해 의정 갈등 이전(3천563명)의 78.8% 수준으로 전공의 숫자가 회복됐다.

 김선민 의원은 "전공의들이 복귀했지만, 예상했던 것처럼 서울 빅5 대형병원으로 쏠림과 지역 간 복귀율의 상당한 격차가 확인됐다"며 "의료체계를 온전히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지역·필수의료 강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