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육아휴직{연합]](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938/art_1758145144925_a5b7b6.jpg?iqs=0.13126148705133267)
아빠 육아휴직 비율이 매년 늘고 있지만, 지난해 중앙행정기관에서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40%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의원실이 최근 인사혁신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육아휴직 대상 10만4천937명 중에 5만8천921명(56.1%)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전체 공무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0년 44.8%, 2021년 45.0%, 2022년 48.8%, 2023년 52.2%로 매해 높아지고 있다.
여성 공무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작년에 96.2%로 대상 인원 대부분이 육아휴직을 쓰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남성 공무원 가운데 육아휴직 대상자는 지난해 7만3천674명이었는데, 이 중에 2만8천850명(39.2%)만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남성 공무원 육아휴직자 비율은 2020년 22.1%, 2021년 24.9%, 2022년 29.8%, 2023년 34.1%로 해마다 크게 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절반 이상은 육아휴직을 못 쓰고 있다.
중앙행정기관 중에 농촌진흥청의 남성 공무원 육아휴직 사용률이 24.6%로 가장 낮았다.
국무총리비서실(26.7%),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30.8%), 과학기술정보통신부(32.3%), 경찰청(32.6%)이 뒤를 이었다.
남성의 육아휴직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여전한 가운데 적은 급여가 육아휴직 사용을 제약하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중앙부처 한 공무원은 "예전보다는 많이 나아졌지만, 눈치가 보이는 건 마찬가지"라면서 "육아휴직에 들어가면 급여도 적어지다 보니 망설이게 된다"고 했다.
인사처는 육아휴직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육아휴직수당 지급액을 기존 월 최대 150만원에서 250만원으로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