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응급환자 적정시간 내 병원 도착률 50% 수준서 답보

지난해 3대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적정시간 내 병원 도착률 50.6%
복지부, 연거푸 60% 목표치 잡았지만 2021년부터 '제자리걸음'만

 심근경색과 뇌졸중, 심각한 외상 등 급성기 중증응급환자가 적정시간 내 최종 입원 치료기관에 도착한 비율이 5년째 50% 안팎에서 제자리걸음하고 있다.

 지난해 의정사태로 '응급실 뺑뺑이' 우려가 한창일 때에도 중증 응급환자의 적정시간 내 최종 치료기관 도착 비율은 절반 정도로 예년과 유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지아 의원이 최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대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14만4천454명 중 50.6%(7만3천147명·잠정치)가 적정시간 내 응급실에 도착해 최종 입원치료를 받았다.

 올해 상반기에도 3대 급성기 중증응급환자 7만1천45명 중 50.3%(3만5천710명·잠정치)가 적정시간 내 최종 치료기관에 도착했다.

 중증응급환자의 적정시간 내 입원 치료기관 도착 비율은 2021년 49.7%, 2022년 49.1%, 2023년 51.1%, 지난해 50.6%, 올해 상반기 50.3% 등으로 계속 절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지난해에는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한꺼번에 병원을 떠나면서 인력 공백이 커졌으나, 중증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내 병원에 도착해 입원해 치료받는 비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기준 인천에서 중증응급환자의 최종 치료기관 도착률이 60.0%로 가장 높았고, 제주(58.4%), 충북(54.7%), 울산(53.6%) 순이었다. 낮은 지역은 강원(42.7%), 광주(43.0%), 대전(45.1%), 대구(45.2%) 등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제주(59.7%), 인천(58.5%), 충북(54.7%) 순으로 높았다.

 강원(42.2%), 대구(42.6%), 세종(43.5%)은 낮았다.

 정부는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2023∼2027)에서 중증응급환자의 적정시간 내 최종 치료기관 도착률을 2027년까지 60%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달성이 요원해 보인다.

 앞서 정부는 2013년과 2018년에 발표한 2차와 3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에서도 동일한 수준의 목표치를 제시한 바 있다. 2차 계획에서는 2017년에, 3차 계획에서는 2022년에 중증응급환자의 적정시간 내 최종 치료기관 도착률을 60%로 끌어올리겠다고 했었다.

 한지아 의원은 "정부가 2027년까지 중증응급환자의 적정 시간 내 최종 치료기관 도착률을 60%로 높이겠다고 했지만 5년째 제자리"라며 "권역·지역센터 협력 강화, 전용 이송망 확충, 의료 인력 지원 등을 통해 병원 선정부터 이송·치료까지 단계별로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AI·로봇 활용한 고령자 맞춤형 서비스…'에이지 테크'가 뜬다
한국에 앞서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이 로봇·정보통신기술(ICT) 기술 등을 활용한 '에이지 테크'(Age-tech)를 신산업으로 키우고 있어 한국 역시 이 분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초고령사회 일본의 에이지 테크(Age-tech)'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고령화가 진전되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최근 돌봄·간병 수요가 급증하면서 돌봄 인력 부족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이 같은 인력 부족 문제의 대응책 중 하나로 에이지 테크 도입이 주목받으며 일본 정부 역시 관련 기술 보급과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에이지 테크는 고령자와 돌봄 종사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로봇 등 디지털 기술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령 친화 기술을 총칭한다. 기존 단순 돌봄 기술을 넘어 쇼핑, 금융, 상속, 커뮤니티 활성화 등 고령자를 위한 모든 기술·제품·서비스로 확장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고령자가 요양시설로 이동하지 않고 기존 집과 지역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주거·스마트홈 서비스, 영양 관리 지원 서비스, 운동·디지털 헬스케어 서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