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제공]](http://www.hmj2k.com/data/photos/20251041/art_17602182800304_025814.jpg?iqs=0.12271023970700878)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보호받고 있는 아동 10명 중 3명은 경계선 지능인으로 진단받았거나, 경계선 지능인으로 의심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정외보호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전국 아동보호치료시설 12곳을 대상으로 보호 아동의 경계선 지능 진단 여부 등 전반적인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지난해 8월 말 기준 전국 아동보호치료시설 12곳에서 보호하는 아동 정원은 603명, 현원은 443명으로 정원 충족률은 73.47%였다. 성별로는 현원 기준 남성이 70.9%, 여성이 29.1%였다.
경계선 지능으로 진단받은 아동은 443명 중 76명(17.2%)이었고, 경계선 지능으로 의심되는 아동은 61명(13.8%)으로 조사됐다.
이로써 전국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경계선 지능이거나, 경계선 지능으로 의심되는 아동이 전체 443명 중 137명(30.9%)에 달했다.
이들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아동보호치료시설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각각 시설에 대한 관심과 지원 부족(33.3%), 종사자 수 부족(33.3%)이 꼽혔다.
이어 종사자의 전문성 부족(16.7%), 아동의 관심 동기 저하(8.3%) 순이었다.
연구팀은 "아동보호치료시설에서 경계선 지능으로 진단받은 아동의 비율은 대부분의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추정하는 15.9%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최근에는 경계선 지능과 함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등을 복합적으로 지니고 있고, 의심 아동 수 또한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가정외보호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 보고서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g0.yna.co.kr/etc/inner/KR/2025/10/10/AKR20251010119700530_01_i_P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