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동탄2 종합병원 건립사업 우선협상대상자 내달 결정

 경기 화성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추진 중인 '동탄2신도시 내 종합병원 유치 패키지형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를 내달 중 선정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

 우선협상대상자는 LH가 이날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2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평가위원회를 개최해 ▲ 종합개발 구상 ▲ 종합병원 건립 및 운영계획 ▲ 사업 수행 능력 등을 평가해 결정한다.

 이후 협상 절차와 토지 매매 등을 거쳐 본격적인 개발 사업에 들어간다.

 리즈인터내셔널 컨소시엄에는 고려대의료원(고려중앙학원), 우미건설, 미래에셋증권이, 에스디에이엠씨 컨소시엄에는 순천향대의료원(동은학원), 호반건설, 삼성증권이 참여했다.

 두 컨소시엄 제출된 사업계획서에는 종합병원 건립뿐 아니라 지역에 필요한 의료서비스 제공 방안, 지역사회 공헌 방안, 친환경 조성 계획 등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동탄2신도시 내 종합병원 유치 패키지형 개발사업은 ▲ 의료시설용지 ▲ 도시지원시설용지 ▲ 주상복합용지(2개 블록) 등 총 4개 블록(약 19만㎡)을 묶어 동시 매각한 뒤 의료시설과 도시지원시설, 주상복합 기능을 결합한 복합개발 방식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시와 LH는 이곳에 700병상 이상의 3차 상급종합병원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 종합병원이 조성되면 수도권 남부 의료 거점 확보는 물론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쟁력 제고 및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정명근 시장은 "화성시민의 생명권과 직결된 핵심 인프라인 대규모 종합병원의 유치가 차질 없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총동원해 지원할 것"이라며 "LH가 투명하고 공정한 심의를 통해 최적의 사업자를 선정해주길 요청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영유아 수술 후 손목 요골동맥 폐색 합병증 예방법 찾았다
손목의 바깥쪽에 있는 요골동맥은 수술 중 혈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동맥관이 주로 삽입되는 혈관이다. 그러나 영유아 환자의 60% 이상은 수술 후 이 혈관의 혈류가 막히는 요골동맥 폐색을 경험하는데, 국내 연구진이 이를 3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요골동맥 폐색은 신체의 끝부분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는 말초 허혈, 피부 조직이 손상되는 피부 괴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그동안에는 명확한 예방법이 없었다. 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장영은·박정빈 교수팀은 혈관확장제 '니트로글리세린'을 이용해 영유아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부터 최근까지 이 병원에서 전신마취 하에 수술받은 3세 미만 환자 132명을 처치군(67명)과 대조군(65명)으로 무작위 배정한 뒤, 동맥관 삽입·제거 시 니트로글리세린 희석액과 식염수를 각각 피하 주사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처치군의 요골동맥 폐색 발생률은 25.4%로, 대조군(73.8%)의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처치군에서 저혈압, 국소 부위 출혈 등 혈관확장제의 주요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또한 동맥관 제거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