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팬데믹 대비 국산 mRNA 백신 개발 지원 설명회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19일 '감염병 백신 개발 임상 지원 설명회'를 열고 미래 팬데믹에 대비한 국산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개발 지원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이번 설명회에서 산·학·연·병 및 임상 전문가를 대상으로 팬데믹 발생 시 mRNA 기술을 활용한 백신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mR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mRNA를 활용해 개발된 백신이다. 화이자와 모더나 등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대표적인 mRNA 백신이다.

 mRNA 기술을 토대로 만들어진 백신은 개발이 까다로운 대신, 만들어두면 바이러스의 유전정보만 갈아 끼워 넣는 식으로 변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밖에 감염병 백신과 치료제 임상시험 수행을 위해 중앙과 지역의 감염병 전문병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네트워크 운영 방안 등도 논의됐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이번 소통이 대한민국 보건 안보와 백신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미래 팬데믹 발생 시 신속하게 백신을 개발해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고 사회·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화학물질·미세먼지에서 살아남기
◇ 백해무익 미세먼지 이번 칼럼에서는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겠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에 의하면 매년 전 세계에서 700만명에 달하는 사람이 대기오염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망원인 1위가 암이지만 인도에서는 사망원인 1위가 미세 먼지다. 공해를 유발하는 공장 대부분이 인도에 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인도는 공해 문제가 심각하다. 그런 데다가 인구밀도도 높고, 위생 상태도 나쁘다 보니까 이런 결과가 나오는 거다. 중국에서는 지난 2013년에 50만 명이 미세먼지 때문에 죽은 것으로 집계됐다. 엄청난 인구가 미세먼지에 의해 희생되고 있고, 특히 심혈관계질환은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문제는 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나라는 대개 선진국이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연구를 충분히 할 수 없었다. 수치가 높은 나라는 미세먼지 말고도 당장 먹고사는 문제에 급급한 경우가 많거나, 혹은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곳들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여서 미세먼지와 건강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하다. 그런데도 미세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