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합성신약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 추진

K-제약바이오 수출 경쟁력 강화…세액공제 확대 길 열리나
국내 신약 파이프라인 46% 차지…렉라자 성공 계보 잇는다

 정부가 '합성신약' 분야를 반도체, 배터리 등과 같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기 위한 움직임을 공식화했다.

 국내외 제약 시장의 핵심을 차지하고 K-제약바이오 수출의 첨병 역할을 하는 합성신약 분야의 연구개발(R&D) 역량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포석이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실 질의에 대한 답변을 통해 합성의약품을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할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며 관계부처와 법률 개정을 협의하겠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조치의 배경에는 합성의약품이 차지하는 압도적인 시장 비중이 자리 잡고 있다. 2023년 기준, 합성의약품은 전 세계 제약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이는 합성신약이 단순히 전통적인 제약 분야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글로벌 시장의 주류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최근 10년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신약 중 50∼60%가 합성의약품이라는 사실도 이를 뒷받침한다.

 미래 가치 또한 높다. 2024년 기준 국내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총 1천701건 중 합성신약은 789건으로 전체의 46%에 달하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사실상 K-신약 개발의 '본체'인 셈이다.

 국내 합성의약품 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100%) 대비 80% 수준으로 유럽(90%), 일본(88%)에 이어 중국과 함께 글로벌 4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아직 격차가 존재하지만 이 80%의 기술력은 이미 주목할 만한 성과를 만들어냈다.

 유한양행의 '렉라자'와 SK바이오팜의 '엑스코프리'가 대표적이다.

 이들 저분자 기반 합성신약은 대규모 기술이전과 미국 등 선진국 시장 진입에 성공하며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수출 경쟁력을 입증했다.

 정부는 이런 성공 사례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해서 나올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합성의약품 분야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되면 관련 기업들은 R&D 투자 등에 대해 더 큰 폭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게 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합성의약품은 글로벌 신약 시장에서 비중이 높고 국내에서도 기술이전과 수출에 기여하는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큰 분야"라며 "이런 중요성을 고려해 세제 지원이 확대되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레이저 미용시술' 놓고 의사 vs 한의사 또 충돌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에 이어 이번에는 레이저 미용시술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가 또다시 충돌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이달 초 서울 동대문경찰서가 한의사 A씨의 국소마취제 사용 및 레이저·초음파·고주파 의료기기 시술에 대해 '불송치(혐의 없음)' 결정을 내린 걸 두고 양측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A씨는 환자에 국소마취제를 도포한 뒤 레이저 의료기기로 미용시술을 했다가 면허 범위 이외의 의료행위라며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했다. 그러나 경찰은 A씨가 사용한 국소마취제가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이고, 레이저·초음파 기기가 한의학 교육과정에서 사용되는 점 등을 들어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 이에 대한의사협회 한방대책특별위원회(의협 한특위)는 "이번 결정은 의료체계의 근간을 정면으로 훼손한 중대한 판단 오류"라며 "한의사가 미용 시술을 명목으로 의료행위를 수행하고 대가를 수수한 건 무면허 의료행위 및 한의사 면허 이외의 의료행위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반의약품이라고 해도 피부에 마취 크림을 도포한 후 레이저 시술을 하는 행위는 의사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의료행위이며, 한의학 교육과정에 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