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09.08
(월)
동두천 29.3℃
구름많음
강릉 33.1℃
맑음
서울 29.7℃
구름많음
대전 30.6℃
구름조금
대구 30.8℃
구름조금
울산 31.3℃
맑음
광주 30.5℃
구름조금
부산 31.2℃
맑음
고창 31.0℃
맑음
제주 31.5℃
맑음
강화 28.8℃
구름많음
보은 27.9℃
구름조금
금산 29.4℃
맑음
강진군 30.8℃
구름조금
경주시 31.7℃
맑음
거제 30.6℃
구름조금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논문
홈
학회.학술.건강
논문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9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다음 팬데믹 대응 위해 '한국형 BARDA' 설립해야"
다음 팬데믹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생물의약품첨단연구개발국'(BARDA)과 같은 민관협력 총괄 기구 설립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제안이 나왔다. 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5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K-바이오 혁신 토론회'에서 현대바이오 배병준 사장은 현재처럼 신약 개발의 모든 위험을 개별 기업이 떠안는 파편화된 시스템으로는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위기의 반복을 막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서 다음 팬데믹 때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연구개발(R&D)부터 규제, 시장보장, 공급망까지 아우르는 국가적 컨트롤타워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한국은 백신과 치료제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치렀다. 이는 신약 파이프라인이나 인재 부족 문제 이전에, 감염병 대응 의약품 개발을 총괄하고 기업의 위험을 분담해 줄 국가 시스템이 부재했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진단이다. 실제로 항바이러스제 개발 분야는 정부의 대규모 R&D 지원 프로그램에서도 소외되는 등 정책적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미국의 경우 2006년 '팬데믹 및 모든 위험 대비법(PAHPA)'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119가 이송병원 선정하게 법 바꿔야"
전공의 충원율 서울 70% vs 강원 52%…'빅5' 병원은 74%
올해도 일반의 개원 줄이어…83%가 "피부과 진료하겠다"
소아청소년과 '절벽' 현실로…활동 전문의 수 첫 감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물에 안 녹는 비마약성 진통제…특허 가용화 기술 '눈길'
약국에서 구매해 복용할 수 있는 비마약성 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덱시부프로펜으로 나뉜다. 그 중 류마티스 관절염 등 '복합 통증'에 효과가 있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인 덱시부프로펜 성분은 이부프로펜의 약효성분만으로 구성돼 있어 개량 성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부프로펜 2분의 1 용량만 복용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는 효율성이 있다. 약학분야 상위 국제학술지인 파마슈틱스(Pharmaceutics)에 따르면 현재 유럽연합(EU)에서는 400㎎ 덱시부프로펜 성분을 함유한 통증 및 염증 치료제가 제조되고 있다. 복합 통증에 해당하는 질병 만성 다발성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척추염, 외상 및 수술 후 통증성 부종 또는 염증, 염증·토증(구토 관련 증상) 및 발열을 수반하는 감염증의 치료 보조에 쓰인다. 덱시부프로펜이 적은 함량으로 폭넓은 효과를 보이는 효율성 못지않게 부작용이 최소화됐다는 보고도 있다. 독일 튀빙겐대학교 의과대학 슈테펜 켈러 교수 논문 '덱시부프로펜: 약리학, 치료적 용도 및 안전성'에 따르면 5년 동안 환자 4천836명 대상 임상시험
광주·전남 비만율 전국 최고 수준…10년만에 10%P 상승
스마트폰 소리 큰 부모님…"단순 노화 아닌 '난청'일 수도"
채혈없이 땀으로 체내대사 측정…KAIST, 스마트패치 개발
'덜 해롭다' 믿은 전자담배, 니코틴 중독 더 심각
메디칼산업
더보기
아이디언스, 러·UAE 제약사와 700억원 규모 항암제 공급 계약
일동제약그룹은 항암 신약 개발 계열사 아이디언스가 표적항암제 신약후보물질 '베나다파립'에 대해 러시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제약사와 700억원 규모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계약 상대방은 러시아 제약·유통 업체 란셋과 UAE의 쿼드리 파마슈티컬이다. 계약 금액에는 선급금과 마일스톤 등이 포함됐다. 계약에 따라 베나다파립 상용화 시 아이디언스가 파트너사에 베나다파립 완제 의약품을 공급한다. 각 파트너사는 현지에서 해당 품목에 대한 허가 및 등록을 추진하고 마케팅, 판매 등을 담당한다. 베나다파립은 PARP(DNA 손상 복구 관여 효소) 저해제 계열의 경구용 표적 치료 항암제다. 세포 DNA 손상의 복구에 관여하는 효소인 PARP를 조절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전을 지닌다. 아이디언스 관계자는 "베나다파립이 집중하고 있는 위암 3차 치료 분야는 미충족 수요가 큰 영역"이라며 "타 글로벌 권역에 대한 라이선스 아웃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동아제약, '셀파렉스 메가 알티지 오메가3 2000' 출시
휴젤, 더마드림와 브라질 톡신 시장 공략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차세대 방사선의약품 개발 협력 연구
대웅제약 펙수클루, 중국 품목허가 획득…내년 하반기 발매
오늘의 일정
더보기
[오늘의 주요 일정](8일·월)
[오늘의 증시일정](8일)
[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8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