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11.04
(화)
동두천 12.5℃
맑음
강릉 13.2℃
맑음
서울 13.4℃
맑음
대전 14.0℃
맑음
대구 15.1℃
구름조금
울산 14.4℃
구름많음
광주 12.9℃
맑음
부산 17.3℃
구름조금
고창 13.0℃
맑음
제주 15.2℃
구름많음
강화 11.3℃
맑음
보은 13.1℃
맑음
금산 13.7℃
맑음
강진군 14.8℃
맑음
경주시 14.7℃
구름많음
거제 14.6℃
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세상소식
홈
오늘의 일정
세상소식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9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 "올해 말라리아 환자·매개 모기 모두 감소"
올해 경기지역 말라리아 환자와 매개 모기가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기도와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탈에 따르면 지난 1∼10월 경기지역 말라리아 환자는 31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79명보다 60명(15.8%) 감소했다.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 모기 역시 1만178마리로, 지난해 2만2천220마리와 비교해 50% 이상 줄었다. 경기도는 이 같은 감소세에 대해 파주, 고양, 김포 등 말라리아 환자 다발 지역에 선택과 집중 투자를 하는 등 환자와 매개체 관리를 철저히 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유영철 경기도 말라리아 퇴치사업단장은 "올해 말라리아 환자와 매개 모기 모두 줄었다"며 "2030년 말라리아 퇴치를 목표로 사업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원충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류 암컷에 의해 전파되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경기 서북부를 중심으로 수도권에서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지난 1∼10월 전국에서 발생한 환자 575명의 55.78%인 319명이 경기지역에서 발생했다. 경기지역 환자 중 3분의 2가량은 파주, 고양, 김포 등 경기 서북부 3개 시에서 나왔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2020년 385명에서 신종
질병청, 진드기가 옮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안내서 배포
서울 병원 환자 10명 중 4명은 타지인…작년 원정진료비 11조원 육박
질병청·건강보험공단, 결핵 연구 위한 데이터 64만건 개방
질병청, 코로나19 위기소통 사례집 발간…"개선 방향 제시"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10월말 독감환자, 1년전의 3배…"10년來 최대 수준 유행할 수도"
최근 전국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1년 전의 3배 이상으로 늘어난 가운데 보건당국은 최근 10년 사이 가장 심했던 수준으로 독감이 유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질병관리청은 의원급 의료기관 표본감시 결과, 올해 43주차(10월 19∼25일)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천명당 13.6명으로, 1년 전(3.9명)의 3.5배 수준이라고 4일 밝혔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는 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뜻한다. 의원급 감시에서 연령별 의사환자 분율은 7∼12세(31.6명), 1∼6세(25.8명), 0세(16.4명), 13∼18세(15.8명), 19∼49세(11.8명) 순으로 높았다. 의원급 환자의 호흡기 검체에서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은 43주차에 11.6%로, 직전 주보다 4.3%포인트 올랐다. 주로 유행 중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H3N2)으로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병원급 의료기관 221곳의 인플루엔자 입원환자 감시 결과, 43주차 입원환자는 98명으로, 지난 절기 같은 기간(13명)의 7.5배다. 질병청은 작년 10월보다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점과 남반구에서의 발
"눈 망막 혈관 밀도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고령층 하루 5천보만 걸어도 인지기능 저하 늦출 수 있다"
"심근경색 후 줄기세포 치료, 심부전 위험 절반 이하로 낮춰"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추출물 투여 후 모발 탈락 61% 줄어"
메디칼산업
더보기
지오영, 2년 만에 희귀의약품 공급 품목 52% 확대
국내 1위 의약품 유통기업 지오영은 차별화된 물류 역량을 바탕으로 희귀의약품 공급 첫해인 2023년 80개였던 품목 수를 2년 만에 52.2% 증가한 122개로 확대했다고 3일 밝혔다. 희귀의약품 공급량은 2023년 9만9천582개에서 작년 18만6천398개로 87.2% 급증했다. 최근 1년간(2024년 10월~2025년 9월) 공급량 역시 19만5천429개를 기록, 전년 동기(16만8천77개) 대비 16.3% 성장했다. 지오영 조선혜 회장은 "희귀의약품 유통은 단순한 물류가 아니라 환자에게 치료 기회를 확대하고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일"이라며 "의약품 공공 유통망의 한 축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신뢰 기반의 공급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응급상황 위험 큰 중증천식, '비용의 벽' 낮춰야 치료 지속"
마티카바이오, 칼리디와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CDMO 계약
SK바이오팜·인테론, 자폐증 치료제 후보물질 R&D 협업
일본 알프레사, 한국 자회사 제네셀 설립…줄기세포 사업 확장
오늘의 일정
더보기
[전국 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4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오늘의 주요 일정](3일·월)
[오늘의 증시일정](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