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간 간질환 환자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운대백병원 소화기내과 박승하 교수와 춘천성심병원 김동준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의 간질환 유병률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1998∼2001년 참여한 1만4천438명과 2016∼2017년에 참여한 1만1천455명의 간질환 유병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은 1998∼2001년 18.6%에서 2016∼2017년 21.5%로 16% 증가했고, 알코올성 간질환 유병률은 같은 기간 3.8%에서 7%로 84%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알코올성 간질환은 60대를 제외하고 모든 연령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20대는 1.6%에서 6.4%로 가장 높게 증가했고, 30대는 3.8%에서 7.5%, 40대는 4.2%에서 7.6%, 50대는 5.3%에서 8.6%로 증가했다. 또 같은 기간 복부비만과 당뇨병, 고혈압 유병률도 함께 증가해 만성질환이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은 29.4%에서 36%, 당뇨병 7.5%에서 10.6%, 고혈압 22.6%에서 27.1%로 증가했다. 박 교수는 "만성 간질환은
노인 실명 원인 1위의 안질환인 노인성 황반변성(AM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시신경 조직인 황반에 비정상적인 신생 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이 손상돼 시야의 중심부를 보는 시력인 중심시(central vision)를 잃는 병이다. 황반변성은 완치 방법은 없고 항체 주사 또는 레이저 수술로 진행을 지연시키는 방법이 있을 뿐이며 방치하면 실명으로 이어진다. 대표적인 치료법은 혈관내피성장인자 억제제(anti-VEGF)를 주기적으로 주사해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하는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Caltech: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연구팀이 이 주사제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5일 보도했다. 혈관내피성장인자 억제제를 안구 내에 주사할 때 열을 가해 주면 약물이 더 많이 망막에 전달될 수 있다고 황징린(Jinglin Huang) 연구원은 밝혔다. 약물을 안구 내에 주사하면 수정체 뒤쪽의 안구 내강을 메우고 있는 투명한 젤리 같은 조직인 유리체(vitreous)와 잘 섞이
피 한방울로 13가지 종류의 암을 찾아내는 진단 키트가 개발됐다. 도시바(東芝)는 피 한방울로 13가지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2시간 이내에 99% 정확하게 판정하는 진단 키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과 NHK 등 일본 언론이 25일 보도했다. 내년부터 암환자를 대상으로 실증실험을 시작해 2021~2022년 인간도크 혈액검사 등에서 실용화한다는 목표다. 2만 엔(약 21만 원) 이하의 저렴한 비용으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도시바가 도쿄(東京)의과대학, 국립암연구센터 등과 공동으로 개발한 이 진단키트는 암이 생기면 혈액속에 증가하는 '마이크로 RNA'라는 물질을 검출해 암 여부를 판정한다. 과거에 채취한 암환자의 혈액을 이용해 진단 키트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실험에서 대장암과 폐암, 췌장암 등 13가지 암에 걸렸는지 여부를 99% 정확하게 판정했다고 한다. 크기가 1㎝ 미만의 초기암은 물론 0기로 불리는 초 조기단계의 암도 찾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검사키트로 암판정이 나오면 의료기관에서 어느 장기에 암이 생겼는지 영상진단 등을 통해 확인한다. 이런 종류의 기술은 도레이 등도 개발했지만 도레이 검사는 특정 암을 조사하는 키트
박테리아의 항생제 내성 문제는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가장 심각한 위해 요인 중 하나다. 하지만 박테리아가 어떻게 항생제 내성을 갖게 되는지는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인간의 폐 질환과 낭포성 섬유증 등을 일으키는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 항생제나 박테리오파지(살균 바이러스)의 공격을 받으면 동종 세균에 경고 신호를 보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쟁에서 적의 공습을 받으면 경보를 울리는 것과 비슷한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셈이다. 이 연구를 수행한 덴마크 코펜하겐대 보건의료 학부의 니나 몰린 회윌란드-크록스보 수의학·축산학과 조교수는 관련 논문을 학술지 '미생물학 저널(Journal of Bacteriology)'에 발표했다. 이 연구는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 Irvine) 과학자들과의 협력 아래 진행됐다. 코펜하겐대가 22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연구진은 실험실의 페트리 접시에 녹농균을 배양해, 점막 표면에 감염이 생긴, 폐 낭포성 섬유종 환자의 환부와 비슷한 환경을 조성했다. 그런 다음 항생제나 박테리오파지를 투여하고 녹농균의 반응이 어떻게 달
신생아는 최소한 생후 1년 동안은 홍역에 걸리지 않도록 모체로부터 자연 수동면역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 수동면역이란 임신 중 모체의 혈액에 있는 항체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 전달되면서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면역이다. 그러나 모체로부터 받은 홍역 면역은 의외로 급속히 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공중보건연구소(Public Health Ontario)의 셸리 볼로틴 역학교수 연구팀이 생후 1년 미만 신생아 196명에게서 혈액 샘플을 채취, 홍역 항체를 측정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3일 보도했다. 생후 6개월이 지나면 홍역에 대한 모체 면역 항체는 홍역 예방에 필요한 수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생후 1개월 된 신생아는 약 20%가 혈중 홍역 항체 수치가 예방에 필요한 수준에 미달했으며 생후 3개월이 되자 92%가 홍역 항체 수치 미달로 나타났다. 생후 6개월이 된 신생아는 모두 홍역 항체 수치가 예방 수준을 밑돌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신생아는 첫 돌이 되기 전에 홍역 예방 조치가 필요함을 이 연구결과는 보여주고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소아과학회 학술지 '소
암 환자는 다른 사람에 비해 뇌졸중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 의대 영상 종양과 전문의 니콜라스 자오르스키 박사 연구팀은 암세포가 전이된 환자 720여만명의 1992~2015년 의료기록이 수록된 국립암연구소(NCI)의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23일 보도했다. 전체 암 환자 중 8만513명이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전체적으로 암 환자는 일반인보다 뇌졸중으로 사망할 위험이 2배 이상 높고 시간이 갈수록 이러한 위험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암 종류별로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이 뇌졸중 사망 위험과 연관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뇌졸중 사망 위험은 남녀 환자 모두 비슷했으며 비교적 이른 나이에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일수록 뇌졸중 사망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세 이전에 암 진단을 받은 환자 중에서는 뇌종양과 임파선암 환자가 뇌졸중 사망 위험이 가장 높았고 40세 이후 암 진단을 받은 환자들 가운데서는 전립선암, 유방암, 대장암 환자들이 뇌졸중 사망 위험
수면이 부족하면 주의력뿐 아니라 순서에 따라 이뤄지는 연속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도 크게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대(MSU) '수면·학습 실험실(lab)'의 킴벌리 펜 교수팀은 관련 논문을 저널 '실험 심리학(Experimental Psychology)'에 발표했다. 21일(현지시간)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수면 결핍이 연속 업무의 이런 '순서 지키기' 능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는 지금까지 알려진 게 거의 없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미셸 스테판 박사 과정 연구원은 "수면 부족이 뇌의 인지 기능 가운데 주의력에만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이론이 틀렸다는 게 입증됐다"라면서 "잠을 충분히 못 자고 일상 업무를 해내는 사람도 있겠지만, 예컨대 수면이 부족한 의사가 여러 단계를 거치는 의료 시술을 하는 건 충분히 잤을 때보다 훨씬 더 위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지원자 138명에게 당일 저녁과 다음 날 아침 두 차례에 걸쳐 인지 업무 수행 능력을 테스트했다. 실험 조건에 맞춰 67명은 밤을 꼬박 새우고, 나머지 61명은 집에서 숙면을 했다. '순서 지키기' 능력을 보는 테스트에선,
습진 환자는 골절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런던 위생·열대의학 대학원(London School of Hygiene & Tropical Medicine)의 시니드 랭건 임상역학 교수 연구팀이 약 50만 명의 습진 환자가 포함된 310만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21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습진 환자는 고관절, 무릎, 척추 골절 발생률이 일반인에 비해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습진이 심할수록 골절 위험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습진이 심한 사람은 고관절 골절 위험이 50%, 골반 골절 위험이 66% 높았다. 이들은 또 척추 골절 위험도 2배 이상 높았다. 뼈를 약화시키는 스테로이드제제를 습진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것을 고려해도 골절 발생률은 여전히 높았다. 이유는 뼈 건강에 도움이 되는 칼슘이 많이 함유된 유제품이 습진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습진 환자들이 피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또 습진이 있으면 운동을 피하게 돼 뼈가 약해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습진 환자는 골절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뼈 건강
비만 또는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 뇌 노화를 촉진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좋은 콜레스테롤(HDL) 혈중수치 표준 이하 ▲중성지방 과다 등 5가지 중 3가지 이상이 해당하는 경우로 이런 사람들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위험이 크다. 미국 하버드대학 의대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센터 내과 전문의 레베카 앤고프 박사 연구팀은 중년에 비만하거나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뇌가 빨리 늙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21일 보도했다. 당뇨병이나 뇌 질환이 없는 프래밍햄 심장 연구(Framingham Heart Study) 참가 중년 남녀 2천100여 명(37~55세)의 뇌 MRI 영상과 인지기능 테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비만하거나 대사증후군에 해당되는 사람은 뇌 MRI 영상에서 전체 뇌 용적(brain volume)이 대사증후군이 없는 사람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 용적이 작다는 것은 뇌 손상의 신호이며 뇌 신경세포와 지지세포(support cell)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원인은 뇌 노화와 뇌 혈류 감소 그리고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