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벳, 미스터파인HQ와 아시아 독점 총판 계약 체결

쉐이빙 전문 브랜드 미스터파인, 국내 시장 넘어 아시아 시장 공략

(미디어온) 국내 미스터파인 독점수입 업체 알파벳이 미스터파인HQ와 지난 3월 4일 아시아 시장 총판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알파벳은 중국, 일본, 홍콩,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총 7개국을 대상으로 한 미스터파인 독점 영업권을 확보했으며, 이로써 영업권 내 미스터파인 제품의 유통 및 판매를 희망하는 업체는 오직 알파벳을 통해서만 수입이 가능해졌다.

알파벳은 유니크한 수입 브랜드를 독점 수입 및 유통하는 회사다. 알파벳은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수입 브랜드 및 제품들을 한국 시장에 맞게 재해석해 상품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트렌디한 수입상품의 유통을 이끌고 있다.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미스터파인은 창업자 토드 세라미가 지난 2005년 클래식한 남성용 쉐이빙 제품을 선보이며 문을 열었으며 미스터파인만의 클래식한 디자인과 우수한 성능으로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각광받는 브랜드로 성장했다.

미스터파인 HQ가 알파벳을 아시아 총판 파트너로 결정한 배경에는 무엇보다도 강현수 알파벳 대표만의 수입 및 유통 노하우와 브랜드 경영 방식을 향한 믿음이 크게 작용했다고 전해진다. 이렇듯 미스터파인 HQ를 매료시킨 알파벳은 미스터파인과 함께 한국 시장을 넘어 아시아 시장 개척에 나선다.

강현수 알파벳 대표는 “현대에 들어 자신을 가꾸고 관리하는 남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남성케어의 중심에 매일 해야 하는 면도가 있기에 미스터파인을 시작했다”며 “앞으로 한국을 넘어 서양 문화에 익숙한 아시아 주요 7개국 시장에도 알파벳의 능력을 발휘해 미스터파인의 클래식 면도와 레트로 감성까지도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알파벳’의 미스터파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