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청소년수련관, 지금까지 이런 학교는 없었다 ‘대안학교 한들’ 신입생 모집

(미디어온) ‘대안학교 한들’은 배려의 교육, 조화의 교육, 사회와의 네트워크라는 교육 철학을 목표로 건강한 성장을 함께 이루어 갈 학교 밖 청소년을 모집하고 있다.

신입생 지원 대상은 14세부터 19세 학교 밖 청소년으로, 정원은 15명 내외이며 수시 모집 중이다. 2019년 3월 마지막 주에 실시하는 예비학교를 통해 관계형성프로그램을 진행하고 4월 첫 주부터 정규 수업을 시작한다.

기초 교과 외에 몸짱, 스포츠, 피아노, 미술, 경제/창업 등의 선택 교과가 있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전문 강사의 공예, 영화, 만화 수업과 삼성 꿈 장학재단 공모사업으로 실시하는 환경/자전거 하이킹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방과 후 검정고시가 필요한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학습을 지원한다.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흥미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자신의 꿈을 찾아가며 이를 통해 상급학교 진학 및 직업으로의 연계를 모색한다.

입학에 대한 자세한 안내사항 및 신청방법은 송파구청소년수련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대 6년→5년 논란…"의사공백 최소화" vs "의료교육 부실화"
정부가 '2025학년도 복귀'를 전제로 의대생들의 휴학을 승인하기로 한 것은 학생 복귀와 교육과정 정상 운영을 위한 새로운 계기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서울대 의대가 학생들의 무더기 유급을 막기 위해 지난달 30일 전국 최초로 의대생의 집단 휴학을 승인한 것이 불씨를 댕겼다. 교육부는 수업을 거부하고 있는 대다수 의대생에게 조건부 휴학이라는 '당근'을 제시하면서 늦어도 내년까지는 복귀할 수 있도록 마지막 문을 열어뒀다. 동시에 2025학년도에 복귀하지 않는 학생은 유급 또는 제적 처리하겠다는 '채찍'도 내비쳤다. 하지만 그동안 정부와 대학의 어떤 호소에도 냉소적인 반응을 보여온 의대생들이 이번 대책으로 인해 교육현장으로 돌아올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의사인력 공급의 공백을 막기 위해 총 6년인 의대 교육과정을 5년으로 줄이는 방안은 교육부로선 의료 인력 배출 차질을 막기 위한 '고육지책'이지만, 의료계는 '의료교육 부실화'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 끝나가는 2024학년도…"내년에는 돌아오라" 마지막 호소 정부는 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의과대학 학사 정상화를 위한 비상 대책(안)'을 발표하면서 "정부와 대학의 탄력적 학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가을철 잔디에 누웠다간…'발열성 감염병' 조심
요즘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등산, 캠핑, 피크닉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잔디밭이나 풀숲에서 자칫 발열성 감염병에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발열성 감염병은 진드기와 설치류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입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는 쯔쯔가무시증과 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있는데요. 보통 잔디나 풀에 붙어있는 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하죠. 또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쥐)를 통해 걸리는 감염병으로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이 있는데요. 렙토스피라증은 설치류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 상처 등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 감염됩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설치류의 분변, 오줌 등과 함께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사람의 호흡기로 바이러스가 들어가면서 전파되죠. 최원석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9월에 환자 발생이 늘어나고 10∼11월에 환자 발생이 가장 많다"면서 "털진드기 유충이나 쥐가 대개 가을철에 번식하는데 이때 중간 매개체가 많아진다는 점이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1∼3주의 잠복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