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잔디에 누웠다간…'발열성 감염병' 조심

 요즘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등산, 캠핑, 피크닉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하지만 잔디밭이나 풀숲에서 자칫 발열성 감염병에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통 잔디나 풀에 붙어있는 진드기에게 물려 발생하죠.

 또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쥐)를 통해 걸리는 감염병으로는 렙토스피라증과 신증후군출혈열이 있는데요.

 렙토스피라증은 설치류의 소변에 오염된 물이 상처 등을 통해 체내로 들어오면 감염됩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설치류의 분변, 오줌 등과 함께 바이러스가 배출된 후 사람의 호흡기로 바이러스가 들어가면서 전파되죠.

 최원석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9월에 환자 발생이 늘어나고 10∼11월에 환자 발생이 가장 많다"면서 "털진드기 유충이나 쥐가 대개 가을철에 번식하는데 이때 중간 매개체가 많아진다는 점이 환자 증가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은 1∼3주의 잠복기 이후 고열, 오한, 두통 등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감기, 코로나19와 증상이 비슷해 방치하기 쉽습니다.

 윤지현 건국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쯔쯔가무시증 같은 경우에는 진드기가 문 자리에 까만색 딱지가 앉는 양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고, 렙토스피라증 같은 경우에는 결막이 빨갛게 변한다든지 하는 특징이 있다"면서 "증상이 생기면 무시하지 말고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발열성 감염병은 보통 약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윤지현 교수는 "쯔쯔가무시증이나 렙토스피라증 같은 경우에는 항생제 치료를 하게 되는데 합병증이나 사망에 이르는 분들을 많이 보지는 못했다"면서 "신증후군출혈열 같은 경우에는 그렇게 효과적인 치료 약제가 있는 건 아닌데 환자가 증상이 있으면 그 증상에 맞춰서 치료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건강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을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최원석 교수는 "되도록 긴팔, 긴바지 같은 것을 입는 것이 좋고, 진드기 기피제 같은 약물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라며 "야외 활동 후엔 물린 자국이 있는지 한 번 정도 살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고여 있는 물 같은 곳에도 상처가 있는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또 "신증후군출혈열은 백신이 있는 질환인데, 군인이나 추수기 농부 등 가을철에 야외 활동이 불가피하게 있는 분들의 경우에는 접종하시면 도움이 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유한양행·JW중외도…'오가노이드' 활용 신약 개발 박차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동물실험을 축소하고 인공 장기 '오가노이드'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다. 동물실험 대체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흐름에 발맞춰 이런 현상은 더 확산할 전망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오가노이드 기업 여러 곳을 협업 후보군으로 검토하고 있다. 동물실험 및 오가노이드 활용 병행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전임상 시험 등에 필요한 동물실험을 한꺼번에 폐지하지는 않더라도 오가노이드를 투입해 이를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는 취지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 또는 조직 유래 세포를 3차원으로 응집해 배양한 미니 장기 모델이다. JW중외제약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밀의료기업 미국 템퍼스AI와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항암 신약을 개발한다. 템퍼스AI는 실제 암 환자 종양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공하고, JW중외제약은 이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평가할 계획이다. 대웅은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 회사가 총괄하는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대량 생산 기술 개발'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 과제에 선정됐다. 이 과제를 통해 오가노이드 기술을 개발하고 오가노이드 재생 치료제 상용화까지 추진하는 게 대웅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