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백에 소아암 수술 작년보다 24% 감소…희귀질환 13%↓

의사 집단행동에 수술취소·진료지연 잇따라…강선우 의원 "맞춤형 대책 마련해야"

 의료 공백 여파로 올해 소아암과 희귀질환 수술 건수가 작년 동기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강선우 국회의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공의 사직 등으로 의료 공백이 발생한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병·의원에서 수술한 소아암 환자(0∼18세) 수는 452명이었다.

 전년도보다 24%가량 줄어든 숫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수술한 소아암 환자 수는 591명이었다.

 반면 이들 상종병원의 대체적 역할을 수행한 종합병원, 병·의원의 소아암 수술 환자 수는 39건에서 47건으로 20% 늘었다.

 희귀질환 수술도 전년도보다 감소했다.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병·의원에서 수술한 희귀질환 산정특례 대상 환자는 1천827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 2천97명보다 13% 줄었다.

 상급종합병원의 희귀질한 산정특례 대상 수술은 1천725명에서 1천383명으로 20% 감소했다. 빅5만 따지면 898명에서 18% 감소해 738명이었다.

 소아암과 마찬가지로 전공의 사직 등의 영향이 적었던 종합병원과 병·의원의 수술 환자 수는 반대로 372명에서 444명으로 19% 늘었다.

 실제로 정부가 운영하는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 센터에는 집단행동으로 소아암 수술이 취소됐거나 희귀난치병 외래 진료가 계속 지연돼 적절한 치료와 약 처방을 못 받고 있다는 신고가 다수 접수됐다.

 강선우 의원은 "정부 정책 실패로 소아암, 희귀질환 환자 등 우리 사회의 가장 약하고 소외된 이들이 피해를 보게 됐다"며 "신고 사례를 토대로 정부가 맞춤형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