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츠 코리아, 환자와 병·의원 대상 모바일 앱 ‘보이는 울쎄라’ 출시

고객 편의를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 확대로 고객 친화적 마케팅 전개 예정
QR코드 이용한 정품 인증과 병원의 팁 재고 관리로 고객 편의성 강화

(미디어온)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리딩 기업 멀츠 코리아는 프리미엄 초음파 리프팅 의료기기인 ‘울쎄라’의 환자 및 병·의원에게 더욱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모바일 앱 ‘보이는 울쎄라’를 출시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모바일 앱은 소비자와 의료진 모두를 위한 맞춤형 모바일 통합서비스 플랫폼이다. 간편한 울쎄라 정품 인증 기능을 비롯해 병원 내 팁 재고 및 유효기간 확인 등 소비자와 의료진에게 안전하고 올바른 시술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담고 있다.

기존의 울쎄라 웹 플랫폼보다 소비자 편의성이 강화되어 출시된 보이는 울쎄라 앱은 울쎄라 시술 후 정품 인증 스티커의 QR코드 스캔을 통해 간단하게 정품 시술을 인증 받고 울쎄라 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다.

또한 멀츠 코리아는 울쎄라 앱을 통해 병·의원의 팁 재고 관리 편의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앱을 활용하면 원내 울쎄라 팁 재고와 유효기간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의료진이 환자에게 더욱 안전한 시술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멀츠 코리아는 ‘보이는 울쎄라’ 앱 출시를 필두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여 고객 친화적 마케팅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멀츠 코리아 유수연 대표는 “울쎄라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 대표적인 프리미엄 리프팅 브랜드인 만큼 앞으로도 안전하고 올바른 리프팅 시술 정보를 제공하고, 편의성에 기반을 둔 프리미엄 서비스를 소비자와 병원 대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쎄라 모바일 앱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와 IOS ‘앱스토어’에서 ‘보이는 울쎄라’로 검색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국내 의료진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두경부암은 얼굴, 코, 목, 입안, 후두, 인두 등에 발생하는 암을 통칭한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박영민 교수팀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두경부센터 남제현 박사 등과 공동 연구팀을 꾸려 두경부암 발생 전 단계를 실제와 같이 구현한 '3차원 오가노이드(Organoid) 모델'을 개발하고,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3차원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체외에서 작은 장기(臟器)와 같이 배양한 세포 구조물로, 우리 몸의 장기가 수행하는 기능과 구조를 비슷하게 만든 입체 조직이다. 두경부암은 주로 인두 등 두경부 내 점막에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된 암은 주변 조직에 공격적으로 침습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고 표준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연구팀은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두경부암의 조기 발생 과정을 파악하는 데 집중했다. 우선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72명의 종양 샘플을 추출·분석한 결과 'MLL3' 유전자 돌연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