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 국내 출시

LG 프라엘 4종에 이어 실리콘 타입의 ‘초음파 클렌저’ 선보여
초음파 미세진동으로 미세먼지까지 부드럽게 딥 클렌징

(미디어온) LG전자가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를 지난 8일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는 ‘더마 LED 마스크‘, ‘토탈 리프트 업 케어’, ‘갈바닉 이온 부스터‘, ‘듀얼 모션 클렌저’ 등 4종에 이은 LG 프라엘의 다섯 번째 제품이다.

LG전자는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를 출시해 클렌저 라인업을 확대한다. 클렌저 구매 고객은 취향과 성향에 따라 선호 제품을 선택할 수 있다. 미세모 타입 선호 고객은 ‘듀얼 모션 클렌저’를, 실리콘 진동 타입 선호 고객은 신제품 ‘초음파 클렌저’를 선택할 수 있다.

● 초음파 미세진동으로 미세먼지까지 부드럽게 딥 클렌징

LG전자는 최근 기승을 부리는 미세먼지로 인해 고객들이 피부 자극은 줄이고 세정력을 높인 클렌저를 찾는다는 점을 고려했다.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면 모공을 막아 피부 트러블과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꼼꼼한 세안이 필수이기 때문이다.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는 초음파 진동으로 피부 각질층을 부드럽게 흔들어 균열을 내고, 세안 용액에 기포를 만든다. 발생한 기포는 피부 속 깊이 있는 미세먼지, 노폐물들과 결합한다. 파워 스핀 브러시는 미세진동으로 노폐물을 피부 밖으로 끄집어내 깨끗하고 맑은 피부를 만든다.

이 제품은 초당 37만회에 달하는 초음파 진동과 분당 4200회의 브러시 미세 진동으로 피부 속 노폐물을 자극 없이 세밀하게 제거한다.

● 피부 안심 소재 적용으로 안전성 입증

LG전자는 LG 프라엘을 개발할 때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인 점을 감안해 안전성 확보에 중점을 뒀다.

LG전자는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의 브러시 소재로 국제표준 규격에 따른 피부 접촉 관련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을 통과한 실리콘을 적용했다. 초음파 헤드 부분은 임플란트에 사용하는 인체 이식용 소재를 사용해 누구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 휴대성·편리성이 장점인 클렌저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는 브러시와 본체가 하나로 붙어있는 바디 일체형 디자인과 콤팩트한 사이즈가 장점이다. 집에서는 물론, 여행이나 출장을 다닐때도 휴대하기 편리하다. 이 제품은 브러시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관리도 쉽다. LG전자는 기존 진동 클렌저를 사용하는 고객들 다수가 브러시를 교체하기 번거로워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반영했다.

사용자는 클렌징 강도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고, 사용 시간도 70초와 120초 중에 선택할 수 있다. 또 한 번 충전으로 약 6개월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IPX7 방수 등급을 충족한다. 샤워 중에도 사용 가능하고 흐르는 물에 씻을 수 있어 편리하다. 또 빠르게 건조돼 세균 번식이 잘 되는 습한 욕실에서도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출시 가격은 27만9000원이다.

LG전자 한국영업본부 손대기 한국HE마케팅담당은 “최근 미세먼지, 황사 등 환경 이슈로 클렌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얼굴 피부 건강을 걱정하는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LG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로 홈 뷰티 시장을 지속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