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평택이전 기록' 2022년까지 아카이브 구축

평택시, 주한미군 이전 시대 1년 한미 협력 사업 계획 발표

 경기 평택시가 주한미군 기지 이전 과정을 기록한 자료를 모아 디지털화하기로 했다.

언론 브리핑하는 정장선 평택시장[평택시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평택시는 4일 향후 한미 협력 사업 방향과 함께 '주한미군 평택 이전 기록과 기억' 아카이브 구축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아카이브 구축은 주한미군 기지 이전 과정을 담은 자료가 역사적 가치를 지닌 유산인 만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취지라고 시는 설명했다.

먼저 시는 내년부터 정부와 미군, 언론사, 경찰, 시민 등을 대상으로 미군 기지 평택 이전 과정을 담은 영상, 사진, 간행물, 회의록, 유인물, 언론 보도 등 자료를 수집하기로 했다.

수집한 자료를 디지털화한 뒤에는 2022년 일반에 공개하고, 2024년 평택 역사박물관이 개관하면 실물 자료를 전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반환 예정 공여지인 '소총 사격장'과 'CPX 훈련장' 등 2곳의 조기 반환을 위해 국방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기로 했다.

소총 사격장은 팽성읍 송화리 일원 4만㎡ 규모로, 이미 캠프 험프리스(K-6) 기지 안에 대체 부지가 조성돼 사용되지 않는 상태여서 조기 반환에 대한 주민 요구가 끊이지 않는 곳이다.

또 인근의 27만여㎡ 규모인 CPX 훈련장도 미군이 추후 사용하지 않을 계획을 갖고 있어, 반환 대상으로 분류된다.

공여지 반환 절차는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분과위에 상정돼 우리 정부와 미군 측의 협상 후 SOFA 합동위(외교부 승인), 정화, 매각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데 두 곳 모두 아직 SOFA 협상 테이블에조차 상정되지 않은 상태다.

평택시는 앞으로 국방부와 협의해 SOFA 분과위에 두 공여지 반환 안건이 상정되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평택시는 내년 '평택 & 주한미군 우정의 날' 제정, 미군과 외국인을 위한 '온라인 소통채널 구축', 평택시-미8군 자매결연 추진 등 다양한 협력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장선 시장은 "주한미군과 미군 가족들은 평택시를 보고 대한민국을 판단하게 될 것"이라며 "그만큼 평택시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앞으로 평택시민과 주한미군이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