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형간염, 항바이러스제 치료하면 간질환 사망위험 '뚝'"

 간암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B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됐더라도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꾸준히 받으면 발병 위험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B형간염 1차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두 가지 항바이러스제를 비교했을 때 약제별 효과 차이는 없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장정원 교수, 부천성모병원 이승원 교수, 인천성모병원 권정현 교수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세 곳 병원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은 3천22명의 만성 B형간염 환자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환자들에게는 B형간염 1차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먹는 항바이러스제 '비리어드'(성분명 테노포비르)와 '바라쿠르드'(성분명 엔테카비르)가 각각 처방됐다.

 그 결과 흔히 간암으로 불리는 간세포암 발생률은 4.4%, 간이식과 사망은 1.9%에서 발생했다.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은 환자는 복수, 정맥류 출혈, 간 기능 부전 등 간 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할 확률이 0.3%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비리어드와 바라쿠르드를 복용한 환자군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간세포암과 사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 억제와 간 수치 정상화에 있어 두 약제가 차이가 없었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B형간염에 항바이러스제를 처방 시 간세포암 발생, 간이식, 사망률을 낮춘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으나 치료제 간 효과 차이는 명확하지 않았었다"며 "이번 연구로 1차 약제로 추천되는 어떤 약을 처방받아도 임상적 결과는 같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영국 위장병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거트(Gut) 10월호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우선 차백신연구소[261780]는 지난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mRNA 백신 및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