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손상 원인 1위는 '추락·낙상'…주로 집에서 발생

 노인들이 다치는 가장 큰 원인은 집 등 주거지에서 발생하는 추락이나 낙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추락·낙상은 장기간 요양과 반복적인 입원을 초래, 노년기 체력 손실과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250개 병원 퇴원환자를 표본 분석한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 노인 손상의 주요 원인을 이같이 파악했다고 밝혔다.

 인구 10만명 당 노인 손상 환자는 4천751명이었다.

 노인 손상의 원인별로는 추락·낙상이 인구 10만명당 3천95명(65.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차 사고 등 운수사고 744명(15.7%), 사람이나 물체에 부딪힌 경우 250명(5.3%) 등이었다.

 추락·낙상에 의한 노인 입원이 운수사고의 4.2배에 달했다.

 노인 추락이나 낙상은 주로 주거지에서 일상생활 중 발생했다.

 주거지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1천262명으로 가장 많았고, 길·간선도로(298명), 농장(108명), 의료시설(104명) 순이었다.

 추락·낙상 시 일상생활인 경우가 1천38명, 이동 중인 경우가 340명 등이었다.

 질병청은 노인의 낙상에 따른 신체적·정신적 건강 피해를 예방하고자 낙상 예방 운동프로그램, 주거지 등 실내에서 낙상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환경요인 점검표 등을 개발해 이날부터 보급한다.

 국가손상정보포털 누리집과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노인 낙상은 체력 손실과 사망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예방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노인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과 동영상이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적극 활용돼 노인 건강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특정 영양소 줄였더니 화상 후유증 '비대성 흉터' 감소"
국내 연구팀이 특정 아미노산을 제한하면 화상 후 흉터가 커지는 비대성 흉터(비후성 반흔)를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한림대학교한강성심병원 재활의학과 서정훈·주소영·조윤수 교수 연구팀은 최근 아미노산인 메티오닌을 제한하면 화상 흉터를 유발하는 섬유아세포(세포 외 기질과 콜라겐을 합성해 피부를 재생하는 세포)의 증식·염증·섬유화가 억제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종전까지 메티오닌 제한은 주로 암 치료에 사용돼왔다. 비대성 흉터의 치료에서 메티오닌 제한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비대성 흉터는 흉터 부위가 커지고 튀어나오면서 외형상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통증, 가려움증, 피부 당김 등 부작용도 부른다. 현재 이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은 없고, 대부분 수술이나 압박 치료 등으로 관리해왔다. 연구팀은 화상 후 비대성 흉터로 수술받은 환자 4명의 조직에서 섬유아세포를 분리한 뒤 메티오닌을 제거한 실험군과 일반 대조군으로 환자를 나눴다. 이후 세포 성장·사멸 관련 단백질, 염증·섬유화 관련 신호의 전달 경로 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메티오닌이 제한된 환경에서 비대성 흉터로부터 분리한 섬유아세포의 증식률은 5일째 시점에서 대조군보다 약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