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HIV 예방 '연간 2회 주사제' 승인…'에이즈 종식' 길 열리나

FDA, 길리어드사 약품 승인…연 3천900만원 달하는 가격은 장벽

 미국에서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예방 효능이 높은 주사제가 승인되면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을 종식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미 제약사 길리어드 사이언스(이하 길리어드)에 따르면 미 식품의약청(FDA)은 지난 18일 길리어드의 주사제형 HIV-1 캡시드 억제제인 '예즈투고'(Yeztugo)를 성인 및 청소년을 위한 노출 전 예방(Pre-Exposure Prophylaxis, PrEP) 약물로 승인했다.

 이는 미국에서 PrEP를 필요로 하거나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첫 번째이자 유일한 '연간 2회 투여' 옵션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PrEP 약은 이미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하루에 한 번씩 먹거나 격월에 한 번씩 주사를 맞아야 하는 등 잦은 복용·투여 횟수로 인해 불편한 데다 HIV·에이즈에 대한 사회적인 차별의 시선이 있어 널리 보급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의약계는 설명했다.

 애틀랜타 에모리대의 에이즈 연구센터 소장인 카를로스 델 리오 박사는 "반년마다 한 번 맞는 주사는 더 잦은 PrEP 투여 요법, 특히 매일 복용해야 하는 경구용 PrEP에 의존하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복용 준수의 어려움과 사회적인 오명 같은 주요 장벽을 크게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즈투고는 PrEP 사용률과 지속성을 높일 잠재력을 갖추고 있어 HIV 감염 종식을 위한 우리의 사명에 강력한 새로운 도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길리어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하루 한 번 경구 투여 약인 자사의 기존 '트루바다'(Truvada)만 복용했을 때와 비교해 HIV 감염이 100% 감소해 효과가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다른 임상시험에서는 예즈투고를 투여받은 2천179명 중 2명만이 HIV에 걸려 99.9%의 예방 효과를 나타냈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문제는 비싼 가격이다.

 AP통신과 CNBC 등 미 언론은 포괄적인 이름이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인 이 약 가격이 보험 적용 없이 연간 2만8천218달러(약 3천900만원)라고 전했다.

 길리어드의 기존 일일 경구용 약은 연간 약 2만4천달러(약 3천300만원)였다.

 회사 측은 보험사, 정부 유관 기관과 협력해 보험 적용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지만, 미 언론은 현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보건·의료 복지 예산 축소에 따라 저소득층을 위한 메디케이드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