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두 번 주사로 나쁜 콜레스테롤 낮추는 신약 개발

 매년 두 번의 주사로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LDL)의 혈중 수치를 낮출 수 있는 신약이 개발됐다.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RNA 간섭(RNA interference) 방법으로 혈중 LDL 수치를 떨어뜨리는 신약 인클리시란(inclisiran)이 3상 임상시험(ORION-10)에서 효과가 입증됐다고 AP통신과 사이언스 데일리가 18일 보도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심장 전문의 스콧 라이트 박사 연구팀이 진행한 임상시험은심혈관질환이 있고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LDL 수치가 잘 내려가지 않는 1천561명을 대상으로 145개 의료기관에서 무작위 대조군 설정과 환자와 연구자 모두가 모르게 하는 이중맹(double blind) 방식으로 진행됐다.

 임상시험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인클리시란 또는 위약(placebo)이 피하주사로 투여됐다. 그로부터 3개월 후 다시 한 차례 주사를 맞았고 그 후부터는 6개월에 한 번씩 주사를 맞았다.

 그 결과 510일째에 인클리시란이 투여된 그룹은 위약 그룹보다 혈중 LDL 수치가 58% 낮아졌다.

 투약 후 90~540일 사이에는 인클리시란 그룹이 대조군보다 평균 56% 낮은 LDL 수치를 유지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1년에 두 번의 주사로 안정되고 지속적인 LDL 수치 감소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라이트 박사는 평가했다.

 인클리시란의 안전성도 입증됐다. 간이나 신장에 이렇다 할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신약은 콜레스테롤이 혈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막는 PCSK9 단백질 생산을 지시하는 유전자의 메시지를 차단한다.

 인클리시란을 개발한 메디신 컴퍼니(Medicines Company) 사는 금년 말 이 신약의 승인을 미국 식품의약청(FDA)에 신청할 계획이다.

 이 임상시험 결과는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미국 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소아청소년 18만명당 소아외과 전문의 1명"…"전국 44명, 극한직업"
"전국에서 실제 환자를 진료하는 소아외과 전문의가 고작 44명입니다. 그런데, 이 중 10명(22.7%)이 2030년에 정년을 맞습니다. 소아외과 전문의가 훨씬 더 줄게 되는 미래가 걱정입니다" 김현영 대한소아외과학회 고시위원장(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외과 교수)은 최근 서울대 어린이병원 지하1층 CJ홀에서 열린 '대한소아청소년외과의사연합 심포지엄'에서 국내 소아외과가 처한 현실을 이같이 토로했다. 소아외과는 신생아부터 청소년기까지 발생하는 외과 질환을 전문으로 진료하는 여러 외과 과목 중 하나다. 소아외과가 꼭 필요한 건 성인과 달리 소아청소년기에는 신체적 변화와 생리적 변화, 발달 상태에 따라 개인별 맞춤 진료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신생아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한 다양한 선천성 기형과 여러 종류의 양성 종양 및 악성 종양, 소아의 위장관계 및 간담도계에서 발생하는 질병, 골절, 외상 등이 모두 소아외과의 진료 영역이다. 소아청소년과 질환이 광범위한 만큼 소아외과에 연계되는 외과적인 수술 및 시술도 방대하고, 전문성이 더 요구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 분야 전문의들은 한목소리로 국내 소아외과가 '고사 위기'라고 말한다. 이는 소아외과학회가 실시한 '국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