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세 이상, 정기검진으로 간암 발견하면 생존 기간 2배↑

조기 발견하면 사망위험도 '뚝'…"80세 간암 검진 충분한 가치 있어"

 정기 검진으로 간암 진단을 받은 75세 이상 노인의 평균 생존 기간이, 증상이 나타난 후에 진단을 받은 노인보다 2배 이상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 일산백병원 소화기내과 김아령 교수팀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과학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게재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팀은 2009∼2021년 간암 진단을 받은 75세 이상 환자 419명을 정기 검진을 통해 간암 진단을 받은 '검진그룹'(235명)과 증상이 나타나 간암 진단을 받은 '증상그룹'(184명)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검진그룹의 진단 후 평균 생존 기간은 4.4년으로, 증상그룹(2.1년)보다 2배 이상 길었다. 검진그룹의 사망 위험도도 증상그룹보다 36% 낮았다.

 연구팀은 이 같은 차이가 조기 발견'에 기인한다고 봤다.

 검진그룹은 간암 초기 단계인 1∼2기에서 진단될 비율이 72.3%로 높지만, 증상그룹은 39.1%에 불과했다.

 김아령 교수는 "어르신들은 간암 발생 고위험군인데도 정기적인 간암 검진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며 "암 검진은 기대여명이 10년 이상일 때 시행하는 것이 권장되는데, 2021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75세의 기대여명은 13.4년이고 80세는 9.9년으로 고령층 노인의 간암 검진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인수공통감염병' 니파바이러스감염증, 1급·검역감염병 지정
사람과 동물 모두가 걸릴 수 있는 감염병인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이 국내 제1급 감염병으로 새로 지정됐다. 질병관리청은 8일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을 제1급 감염병으로 추가하는 내용의 고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제1급 감염병은 생물 테러 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큰 감염병으로,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은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추가된 제1급 감염병이다. 코로나19의 경우 제1급 감염병인 '신종감염병증후군'으로 관리되다 이후 급수가 내려갔다. 니파바이러스감염증 추가로 1급 감염병은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등 17종에서 18종으로 늘었다. 앞서 지난해 6월 세계보건기구(WHO)는 향후 국제 공중보건 위기 상황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체 후보의 하나로 니파바이러스를 선정한 바 있다. 1998년 말레이시아의 돼지 농장에서 처음 보고된 니파바이러스감염증은 니파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인수공통감염병이다. 니파바이러스는 과일박쥐 등 감염된 동물이나 사람의 체액과 직접 접촉하거나 감염된 동물의 체액으로 오염된 식품을 먹을 경우 감염될 수 있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 구토, 인후통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이후 어지러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