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혈당 기능 10배 뛰어난 '식후 혈당조절 효과' 팥 개발

농진청, 동물실험으로 혈당 조절 기능 확인

  농촌진흥청은 토종 야생팥의 항혈당 기능을 도입해 식후 혈당 조절에 효과가 있는 팥 'YV1-138'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농진청은 부산대와 함께 진행한 동물실험으로 이 같은 혈당 조절 기능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농진청은 "토종 야생팥을 밭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개량해 식물특허를 출원한 'YV1-138'은 일반 팥보다 항혈당 기능이 10배 이상 뛰어나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8주령 수컷 실험용 쥐 36마리에 고혈당을 유발한 뒤 6주 동안 삶은 팥 'YV1-138'을 20% 함유한 사료를 매일 마리당 2g씩 먹였다. 대조군은 옥수수 전분을 함유한 사료를 먹였다.

 실험 결과 팥을 먹은 집단의 혈당은 24.3% 낮아졌고, 인슐린에 의해 혈당이 떨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인슐린 감수성'도 개선됐다.

 농진청은 "혈당 개선 효과가 있는 팥과 여러 가지 목적에 맞게 개발된 팥이 식의약 소재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우선 차백신연구소[261780]는 지난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mRNA 백신 및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