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 위한 학술대회 광주서 열려

의료기술 발전했지만 장비 70∼80% 수입 의존…"소재 산업 활성화" 뜻 모아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위한 2019 치과종합학술대회가 23∼24일 이틀간 광주 김대중 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번 행사는 광주시치과의사회와 전남치과의사회, 전남대치의학전문대학원, 조선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조선대 치과병원, 전남대 치과병원, 조선대 치대 총동창회, 전남대 치대 총동창회가 공동 주최했다.

 치대 재학생, 치과병원 종사자 등 1천300여명이 참여해 임플란트·보철·보존·치주·노년치과·디지털 치의학 분야에 대한 강연과 심포지엄을 했다.

 감염 관리와 건강보험, 세무 회계를 다룬 미니 MBA 등 치과 경영 관련 프로그램도 진행됐으며 최첨단 치과 기자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기자재 전시회도 함께 열렸다.

 참가자들은 수술 기법 등 국내 치의학 산업이 세계적으로 발전했지만, 치료용 소재나 기자재 70~80%를 일본·독일·스위스·미국 등지에서 수입하고 있어 국립연구원을 설립해 소재 산업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또, 호남권에는 전남대·조선대·전북대·원광대 등 4개 치과 대학이 있어 인적 자원이 상대적으로 풍부하다고 제안했다.

 이번 행사 기간 전남치과의사회 회원들의 '이사랑 모으기 캠페인' 성금 전달식도 열렸다.

 회원들은 올해 자발적으로 기부한 3천만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지역 복지단체에 전달할 예정이다.

 박창헌 광주시치과의사회장은 "광주시는 2012년부터 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위해 노력했다. 이번 대회가 우리나라 치의학 발전과 치과 산업에 힘찬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홍국선 전남치과의사회장은 "많은 치과 산업 종사자의 참여 속에 호남권 국립 치의학연구원 설립에 대한 열망을 보여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