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기사제보
문의하기
회원가입
로그인
2025.09.27
(토)
동두천 25.8℃
맑음
강릉 27.3℃
구름조금
서울 26.6℃
맑음
대전 25.0℃
구름많음
대구 22.6℃
흐림
울산 23.8℃
흐림
광주 24.8℃
구름많음
부산 27.2℃
흐림
고창 25.2℃
구름조금
제주 24.5℃
비
강화 25.7℃
맑음
보은 24.4℃
구름많음
금산 25.9℃
구름많음
강진군 26.3℃
구름많음
경주시 22.1℃
흐림
거제 25.3℃
구름많음
기상청 제공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하기
메뉴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닫기
최신기사
의료.병원.한방
의료정책
보건소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의원
한의원
약사회
간호사회
학회.학술.건강
건강정보
논문
포럼
컬럼
메디칼산업
제약
의료
뷰티
건강검진
사람들
인터뷰
동정
인사
결혼
부음
라이프
정치
경제
사회
스포츠
날씨
지역뉴스
평생교육
교육
복지시설
연구자료
게시판
문화.관광
여행/축제
공연/전시
학술
문화재
연예
먹거리
문화
게시판
반려동물
수의사
강아지
고양이
관련협회
카페
교육/알림
게시판
오늘의일정
정치일정
주요신문사설
주요신문톱기사
주식거래
세상소식
의료일정
지자체일정
라이프
스포츠
◇오늘의 경기(2일)
관리자 기자 K1988053@naver.com
등록 2019.12.02 07:15:39
URL복사
목록
메일
프린트
스크랩
글씨크기 크게
글씨크기 작게
페이스북
엑스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2일(월)
△여자농구= 우리은행-KB(19시·아산이순신체육관)
관리자 기자
의 전체기사 보기
페이스북
엑스
카카오톡
네이버블로그
네이버카페
밴드
Copyright @2015 MEDIAON Corp. All rights reserved.
많이 본 기사
1
'75세 넘은 노인, 정상 혈압수치 밑돌면 사망 위험↑"
2
[명의에게 묻다] 폐에 2㎝ 넘는 덩어리 '간유리 결절'…절반은 폐암 위험
3
·코로나19 무력화하는 항체 찾아…백신 개발에 기여 기대
4
보험업계 "내년 실손보험 인상률 평균 8.9%"
5
국민 65% "일상생활 재개하면 코로나19 감염위험 커질 것"
6
"이식 신장 수명 다하면 재이식이 최선"
7
중국 외 국가에서는 왜 신종코로나 사망자 드물까?
8
손목, 팔꿈치터널증후군 진료인원 16만명...스트레칭이 도움
9
대장암 AI(인공지능)로 정확히 판별…국내 개발
10
"췌장 베타 세포 '칼슘 채널' 당뇨병 유발 메커니즘 찾아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으로 흉부외과 전공의 37%↓…전공의 있는 병원 25%↓"
의정 갈등 이후 흉부외과 전공의 수가 37%가량 줄어들고 전공의를 보유한 수련병원은 25% 감소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는 26일 이 같은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사실상 붕괴하고 있는 지역 흉부외과 수련 시스템을 재건하기 위한 국가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학회에 따르면 지난해 의대 증원과 전공의 집단사직 등 의정 갈등을 거치며 전국 흉부외과 전공의 수는 36.5% 줄었다. 갈등 직전인 지난해 2월 전국 1∼4년차 흉부외과 레지던트 수는 총 107명이었지만 이달 초 기준으로는 68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가 42명, 경기·인천 지역이 12명, 대구·경북 3명, 부산·울산·경남 지역이 3명, 대전·충남 6명, 광주·전남 1명, 전북 1명이었다. 전공의 수는 줄었지만 수도권 비중은 늘어났는데, 의정갈등 전 수도권 전공의 비율은 107명 중 79명으로 73.8%였지만 이달 기준으로는 79.4%였다. 학회는 "대구·경북 지역 수련 전공의가 의정 갈등 전 10명에서 현재 3명으로 줄어드는 등 지역 인력 유출이 발생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1∼4년차 전공의가 모두 수련중인 병원은 존재하지 않게 됐다
요양원, 이제는 병원 역할까지?…수액·도뇨관 허용 길 열리나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국내 첫 감염병 전문병원 2027년 문 연다…"팬데믹 대비 핵심"
"3년 새 국내 말라리아 환자 2.4배로 증가…접경지역에 집중"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희망일까, 과장일까…'도움 되는 암 보도' 구별 요령
1998년 5월 뉴욕타임스 1면에는 'Hope in an Expanding Effort to Attack Cancer'(커지는 암 정복 노력 속에서 엿보이는 희망)라는 제목의 머리기사가 실렸다. 하버드 의대 연구팀이 개발한 두 가지 단백질 약물이 암세포에 영양을 공급하는 신생혈관을 차단해 종양을 굶겨 죽일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기사는 단순한 연구 성과를 넘어 암 정복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는 기대를 키웠다. 특히 DNA 이중나선을 공동 발견해 노벨상을 받은 제임스 왓슨 박사가 "2년 안에 암이 정복될 것"이라고 언급한 대목은 암 환자와 가족들의 희망을 극대화했다. 하지만 기대는 곧 실망으로 바뀌었다. 연구는 쥐 실험 단계였음에도 기사에서 충분히 강조되지 않았고, 이어진 임상시험에서도 효과가 입증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의학계의 거센 항의 끝에 뉴욕타임스는 공식 사과문을 내야 했다. 세계 최고 영향력을 가진 언론사조차도 건강 보도에서 한순간의 과장이 얼마나 큰 혼란을 부를 수 있는지를 보여준 사건이었다. 그리고 27년이 지난 지금, 우리 언론 역시 여전히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 일부 암 관련 보도 중에는 '기적', '완치' 등의 선정적 표현이
벌초 후 두통·고열 등 나타나면 진드기 감염병 의심해야
코로나19 입원환자 12주 만에 소폭 감소…"연휴 각별히 주의"
"숲에서 산후 우울증·황혼육아 스트레스 날려요"
"식물 뿌리가 중력 방향으로 굽어 내려가는 원리 찾았다"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
파마리서치, CTC바이오 지분 50% 바이오노트에 매각
셀트리온, 골 질환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캐나다 허가 획득
쓰리빌리언, 카자흐스탄 의료기관과 희귀질환 진단 협력 MOU
소바젠, 이탈리아 제약사에 뇌전증약 기술이전…7천500억원 규모
오늘의 일정
더보기
[주요 신문 사설](26일 조간)
[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26일 조간)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7:30
[오늘의 주요 일정](25일·목)
[오늘의 증시일정](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