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기원 연구팀, 새로운 방식 폐암 억제제 개발

기존 표적항암제 적용범위 확대…면역항암제와 시너지 기대

  국내 연구진이 폐암 유발물질을 억제하는 새로운 암 억제물질을 개발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융기원) 김성훈 서울대(약대) 교수 연구팀은 전영호 고려대(약대) 교수팀, 이경 동국대(약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암세포를 보호하는 특정 단백질이 폐암 유발물질과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고 폐암 유발물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원리를 찾아내 이를 활용한 암 억제물질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2월 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암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포 내 단백질 구조에 손상을 입게 되는데, 'Hsp70'이라 불리는 열 충격 단백질이 손상된 단백질을 처리해 세포를 보호하게 된다.

 Hsp70은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된 단백질을 복구하거나, 아예 분해해 제거하는 방법으로 세포 내 단백질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정상 세포에서는 열충격 등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세포가 죽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암세포에서는 오히려 항암제 내성을 강하게 만들어 암세포가 죽는 것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 항암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AIMP2-DX2'라는 폐암 유발인자와 Hsp70 물질의 결합을 억제하고 AIMP2-DX2 분해를 유도하는 원리를 찾아냈으며, 이 원리로 개발한 약물이 폐암 세포와 폐암 동물 실험에서 항암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

 김성훈 교수는 "기존의 표적항암제들은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항암제 표적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며 "이 연구 결과는 기존 표적항암제의 적용 범위를 넓히고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는 면역항암제들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고령화 대비 건보료율 상한 높이는 안 검토…5년간은 괜찮지만
정부가 고령화에 대비해 건강보험료율의 법적 상한인 8%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한다. 향후 5년간은 건강보험 재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고령화 등으로 의료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는 것이다. 의료비 상승의 주범으로 꼽히는 비급여 의료 행위에 '메스'를 들이대 급여와 비급여가 뒤섞인 혼합진료를 금지하고, 효과성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게 퇴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제2차 국민건강보험 종합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 적정 수준 건보료율 논의…국고 지원 법률도 개정 정부는 급격한 고령화로 의료비가 급증함에 따라 보험 재정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건강보험료율 상향 조정과 관련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다. 건강보험료는 법에 따라 월급 또는 소득의 8%까지 부과할 수 있게끔 묶여있는데, 지난해 건강보험료율(7.09%)이 7%를 돌파하면서 상한에 가까워졌다. 올해 건강보험료율은 동결됐다. 배경에는 저출생과 총인구 감소, 저성장 기조 때문에 보험료 수입이 정체돼 재정의 지속성에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 있다. 정부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참고해 적정한 수준의 보험료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