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융기원 연구팀, 새로운 방식 폐암 억제제 개발

기존 표적항암제 적용범위 확대…면역항암제와 시너지 기대

  국내 연구진이 폐암 유발물질을 억제하는 새로운 암 억제물질을 개발했다.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융기원) 김성훈 서울대(약대) 교수 연구팀은 전영호 고려대(약대) 교수팀, 이경 동국대(약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암세포를 보호하는 특정 단백질이 폐암 유발물질과 결합하는 것을 억제하고 폐암 유발물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원리를 찾아내 이를 활용한 암 억제물질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12월 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암세포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포 내 단백질 구조에 손상을 입게 되는데, 'Hsp70'이라 불리는 열 충격 단백질이 손상된 단백질을 처리해 세포를 보호하게 된다.

 Hsp70은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된 단백질을 복구하거나, 아예 분해해 제거하는 방법으로 세포 내 단백질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정상 세포에서는 열충격 등 외부 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세포가 죽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암세포에서는 오히려 항암제 내성을 강하게 만들어 암세포가 죽는 것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 항암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널리 진행되고 있다.

 공동 연구팀은 수년간의 연구를 통해 'AIMP2-DX2'라는 폐암 유발인자와 Hsp70 물질의 결합을 억제하고 AIMP2-DX2 분해를 유도하는 원리를 찾아냈으며, 이 원리로 개발한 약물이 폐암 세포와 폐암 동물 실험에서 항암 효능이 있음을 확인했다.

 김성훈 교수는 "기존의 표적항암제들은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발견되면서 새로운 항암제 표적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며 "이 연구 결과는 기존 표적항암제의 적용 범위를 넓히고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는 면역항암제들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술 빨라지길"…전공의 병원 복귀 첫날, 환자들 기대·안도
지난해 2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1일 수련 재개로 상당수 현장으로 복귀하면서 환자들은 환영의 뜻과 함께 기대감을 나타냈다. 1일 오전 서울 신촌 세브란스병원은 '의료대란' 당시와 다를 바 없이 북적였지만, 전공의처럼 보이는 의사 가운을 입은 청년들이 곳곳에서 눈에 띄어 차이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에서는 '환자의 개인정보 예방을 위해 병원 내 촬영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문이 병원 곳곳에 비치된 채 의정 갈등 사태의 흔적으로 남은 가운데, 흰 가운의 젊은 의사들이 바쁜 발걸음을 재촉했다. 성북구 고려대 안암병원도 안정세를 찾은 분위기였다. 의료진은 각자 진료나 수술을 위해 바삐 걸음을 옮기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다만 이들은 전공의 복귀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손사래를 치는 등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 환자들의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병원에서 만난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를 환영하며 기대감과 안도감을 드러냈다. 서울대병원에서 아들의 신장 이식 수술을 기다리는 중이라는 한 어머니는 "이식을 받기 위해 7월 초부터 입원해서 기다리고 있다"며 "수술받을 사람이 많아서 대기 중인데 전공의가 복귀하면 더 빨라질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