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아과학회, 자폐증 새 지침 발표

 미국 소아과학회(AA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는 12년 만에 업데이트한 새로운 자폐스펙트럼장애(자폐증) 지침을 16일 발표했다.

 이 새로운 지침은 자폐증을 최대한 빨리 발견해 치료를 일찍 시작할 수 있도록 생후 9, 18, 30개월 정기검진(well-child visit) 때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검사를, 생후 18, 24개월 때는 특수 ASD 검사를 시행하도록 했다고 헬스데이 뉴스는 전했다.

 발달 지연의 징후를 보이는 아이는 하루라도 빨리 치료를 시작해야 좋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자폐증 진단까지 기다릴 이유가 없다고 새 지침은 강조했다.

 AAP가 ASD 지침을 업데이트한 것은 2007년 이후 12년 만에 처음이다.

 현재 미국의 ASD 환자는 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유병률은 2007년 155명 중 한 명에서 59명 중 한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ASD 환자는 지능장애, 언어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불안장애, 수면장애, 식이장애, 위장장애, 경련 등 동반 질환을 가진 경우가 적지 않으며 따라서 복합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이 지침은 강조했다.

 특히 자폐아의 경우는 가족이 치료에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임상의, 교사, 치료사 등 전문가들을 도와야 한다고 지침은 밝혔다.

 소아과 전문의들은 자폐아가 증거가 확실한 치료를 받도록 해서 집과 학교에서 사회-교육-행동의 문제들을 풀어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지침은 촉구했다.

 이 새 지침은 AAP 학술지 '소아과학'(Pediatrics) 온라인판(12월 16일 자)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로나19 축적 기술력 이용 mRNA 백신 개발"…플랫폼 개발 속도 내는 제약사들
국내 백신 개발 기업들이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이용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질병관리청이 최근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해 100∼200일 이내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mRNA 백신 플랫폼 국산화를 중점 과제 중 하나로 언급하면서 더 탄력받는 분위기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항체가 형성되도록 유도한다. 우선 차백신연구소[261780]는 지난달 한국파스퇴르연구소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mRNA 백신 및 치료제 후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및 임상 연구를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GC녹십자는 전남 화순의 백신 공장에 mRNA 제품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이 시설은 임상시험용 제제를 생산할 수 있는 시범(파일럿) 규모로 지어졌다. 현재로서는 임상 1∼2상을 진행할 수 있는